4책. 필사본. 저자와 저작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중기의 기사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책으로 보인다.
제1책에는 단군조선 · 기자조선(箕子朝鮮) · 위만조선(衛滿朝鮮) · 예국(濊國) · 맥국(貊國) · 동옥저(東沃沮) · 고구려(高句麗) · 비류국(沸流國) · 행인국(荇人國) · 북옥저(北沃沮) · 황룡국(黃龍國) · 양맥국(梁貊國) · 개마국(蓋馬國) · 구다국(句茶國) · 부여(扶餘) · 갈사국(曷思國) · 조라국(藻羅國) · 주나국(朱那國) · 보덕국(報德國) · 발해국(渤海國) · 정안국(定安國) 등이 수록되었다.
진국(辰國) · 마한오십사국(馬韓五十四國) · 기준마한(箕準馬韓) · 후마한(後馬韓) · 진한십이국(辰韓十二國) · 변한(弁韓) · 변한십이국(弁韓十二國) · 백제(百濟) · 탐라(耽羅) · 휴인국(休忍國) · 주호국(州胡國) · 주류국(周留國) · 신라육경(新羅六京) · 우시산국(于尸山國) · 거칠산국(居漆山國) · 장산국(萇山國) · 음십벌국(音汁伐國) · 실직국(悉直國) · 압독국(押督國) · 비지국(比只國) · 다벌국(多伐國) · 초팔국(草八國) · 소문국(召文國) · 감문국(甘文國) · 골벌국(骨伐國) · 사량벌국(沙梁伐國) · 이서고국(伊西古國) · 우산국(于山國) · 골포국(骨浦國) · 칠포국(漆浦國) · 고포국(古浦國) 등이 실려 있다.
또한 가라(加羅) · 임라(任羅) · 창녕국(昌寧國) · 소라국(召羅國) · 구령국(駒令國) · 명주국(溟州國) · 태봉국(泰封國) · 후백제(後百濟) · 고려(高麗) · 고려육경(高麗六京) · 무경칠서(武經七書) · 의천(義天) · 숙맥(宿麥) · 수적규(遂赤𢎥) · 축성법(築城法) · 윤강(輪舡) · 무후채(武侯菜) · 해시(亥市) · 허시(虛市) · 영오(囹吾) · 종두(種痘) · 동어(東語) 등이 수록되었다. 이상 제1책은 79개 항목으로 대부분 옛날 국명이고, 그 밖에 지명 · 책명 · 인명 · 제도 · 물명까지 수록되었다.
제2책에는 동사(東史) · 다시(茶時) · 관품명수(官品命數) · 동국제천(東國祭天) · 선농(先農) · 관왕묘(關王廟) · 예의(隷儀) · 시호(諡號) · 사제례(私祭禮) · 울릉도(鬱陵燾) · 구도성(九都城) · 오국성(五國城) · 탐라 · 신라정계비(新羅定界碑) · 개마산(蓋馬山) · 한사군(漢四郡) · 패수(浿水) · 점선(黏蟬) · 열수(列水) · 대수(帶水) · 당구도독부(唐九都督府) · 이적주장(李勣奏狀) · 당오도독부(唐五都督府) · 군현연혁(郡縣沿革) · 시(市) · 경성시전(京城市廛) · 의주중강개시(義州中江開市) · 북관개시(北關開市) · 왜관개시(倭館開市) 등이 수록되었다.
이 외에 조적(糶糴) · 분향한림(焚香翰林) · 음서(蔭敍) · 고과(考課) · 빈공과(賓貢科) · 황폐(黃牌) · 백패(白牌) · 흡개(皀蓋) · 탐화랑(探花郎) · 언문(諺文) · 구선(龜船) · 봉수(烽燧) · 역체(驛遞) · 발참(撥站) · 동국병제(東國兵制) · 화약(火藥) · 속악부(俗樂部) · 박연상소(朴堧上疏) · 화산별곡(華山別曲) · 대성악(大晟樂) · 소중화(小中華) · 교령(敎令) · 망건(網巾) · 토홍(土紅) · 선우씨(鮮于氏) · 육부사성(六部賜姓) · 북계(北髻) · 차대(次對) · 각사각계공물(各司各契貢物) · 본조공부지제(本朝貢賦之制) · 전제(田制) · 정전(井田) 등 63개 항목으로, 제도 · 지명 · 풍속 등 다양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제3책에는 좌구명(左丘明) · 공문제자(孔門弟子) · 무령산(茂靈山) · 즙물(什物) · 동국역법(東國曆法) · 입(笠) · 면복(冕服) · 장복(章服) · 신라정제(新羅定制) · 고구려의복(高句麗衣服) · 백제의복(百濟衣服) · 고려의복(高麗衣服) · 의종정제(毅宗定制) · 신우정제(辛禑定制) 등이 실려 있다.
또한 경국대전정제(經國大典定制) · 청의(靑衣) · 태학(太學) · 문묘(文廟) · 선성소상(先聖塑像) · 계성사(啓聖祠) · 입학(入學) · 명륜당문행(明倫堂文杏) · 사학(四學) · 서원(書院) · 호패(號牌) · 대동법(大同法) · 균역청(均役廳) · 죽소허독서(竹所虛讀書) · 서하시화(西河詩話) · 천문책(天文策) · 지리책(地理策) 등 천문 · 지리에서 인물평, 각종 제도가 66개 항목으로 다양하게 실려 있다.
제4책에는 시론(詩論) · 예론(禮論) · 동국지형(東國地形) · 백두산(白頭山) · 왕인(王仁) · 백편상서(白篇尙書) · 불법지시(佛法之始) · 하수오(河首烏) · 오미자(五味子) · 고려과제(高麗科制) · 고려학교지법(高麗學校之法) · 삼한지방변(三韓地方辨) · 고려관제(高麗官制) 등 40개의 항목이 실려 있다.
총 248개 항목에 역사적인 사항이 대부분 기술되어 있으며, 경전(經傳) 및 기타 서적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