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필기 ()

목차
관련 정보
유산필기
유산필기
조선시대사
문헌
우리나라 고대 단군조선으로부터역대 국명 · 지명 · 제도 · 풍속 · 인명 · 사물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내용을 분류하여 엮은 유서(類書).
목차
정의
우리나라 고대 단군조선으로부터역대 국명 · 지명 · 제도 · 풍속 · 인명 · 사물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내용을 분류하여 엮은 유서(類書).
내용

4책. 필사본. 저자와 저작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중기의 기사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책으로 보인다.

제1책에는 단군조선·기자조선(箕子朝鮮)·위만조선(衛滿朝鮮)·예국(濊國)·맥국(貊國)·동옥저(東沃沮)·고구려(高句麗)·비류국(沸流國)·행인국(荇人國)·북옥저(北沃沮)·황룡국(黃龍國)·양맥국(梁貊國)·개마국(蓋馬國)·구다국(句茶國)·부여(扶餘)·갈사국(曷思國)·조라국(藻羅國)·주나국(朱那國)·보덕국(報德國)·발해국(渤海國)·정안국(定安國) 등이 수록되었다.

진국(辰國)·마한오십사국(馬韓五十四國)·기준마한(箕準馬韓)·후마한(後馬韓)·진한십이국(辰韓十二國)·변한(弁韓)·변한십이국(弁韓十二國)·백제(百濟)·탐라(耽羅)·휴인국(休忍國)·주호국(州胡國)·주류국(周留國)·신라육경(新羅六京)·우시산국(于尸山國)·거칠산국(居漆山國)·장산국(萇山國)·음십벌국(音汁伐國)·실직국(悉直國)·압독국(押督國)·비지국(比只國)·다벌국(多伐國)·초팔국(草八國)·소문국(召文國)·감문국(甘文國)·골벌국(骨伐國)·사량벌국(沙梁伐國)·이서고국(伊西古國)·우산국(于山國)·골포국(骨浦國)·칠포국(漆浦國)·고포국(古浦國) 등이 실려 있다.

또한 가라(加羅)·임라(任羅)·창녕국(昌寧國)·소라국(召羅國)·구령국(駒令國)·명주국(溟州國)·태봉국(泰封國)·후백제(後百濟)·고려(高麗)·고려육경(高麗六京)·무경칠서(武經七書)·의천(義天)·숙맥(宿麥)·수적규(遂赤0x9350)·축성법(築城法)·윤강(輪舡)·무후채(武侯菜)·해시(亥市)·허시(虛市)·영오(囹吾)·종두(種痘)·동어(東語) 등이 수록되었다. 이상 제1책은 79개 항목으로 대부분 옛날 국명이고, 그 밖에 지명·책명·인명·제도·물명까지 수록되었다.

제2책에는 동사(東史)·다시(茶時)·관품명수(官品命數)·동국제천(東國祭天)·선농(先農)·관왕묘(關王廟)·예의(隷儀)·시호(諡號)·사제례(私祭禮)·울릉도(鬱陵燾)·구도성(九都城)·오국성(五國城)·탐라·신라정계비(新羅定界碑)·개마산(蓋馬山)·한사군(漢四郡)·패수(浿水)·점선(黏蟬)·열수(列水)·대수(帶水)·당구도독부(唐九都督府)·이적주장(李勣奏狀)·당오도독부(唐五都督府)·군현연혁(郡縣沿革)·시(市)·경성시전(京城市廛)·의주중강개시(義州中江開市)·북관개시(北關開市)·왜관개시(倭館開市) 등이 수록되었다.

이 외에 조적(糶糴)·분향한림(焚香翰林)·음서(蔭敍)·고과(考課)·빈공과(賓貢科)·황폐(黃牌)·백패(白牌)·흡개(皀蓋)·탐화랑(探花郎)·언문(諺文)·구선(龜船)·봉수(烽燧)·역체(驛遞)·발참(撥站)·동국병제(東國兵制)·화약(火藥)·속악부(俗樂部)·박연상소(朴堧上疏)·화산별곡(華山別曲)·대성악(大晟樂)·소중화(小中華)·교령(敎令)·망건(網巾)·토홍(土紅)·선우씨(鮮于氏)·육부사성(六部賜姓)·북계(北髻)·차대(次對)·각사각계공물(各司各契貢物)·본조공부지제(本朝貢賦之制)·전제(田制)·정전(井田) 등 63개 항목으로, 제도·지명·풍속 등 다양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제3책에는 좌구명(左丘明)·공문제자(孔門弟子)·무령산(茂靈山)·즙물(什物)·동국역법(東國曆法)·입(笠)·면복(冕服)·장복(章服)·신라정제(新羅定制)·고구려의복(高句麗衣服)·백제의복(百濟衣服)·고려의복(高麗衣服)·의종정제(毅宗定制)·신우정제(辛禑定制) 등이 실려 있다.

또한 경국대전정제(經國大典定制)·청의(靑衣)·태학(太學)·문묘(文廟)·선성소상(先聖塑像)·계성사(啓聖祠)·입학(入學)·명륜당문행(明倫堂文杏)·사학(四學)·서원(書院)·호패(號牌)·대동법(大同法)·균역청(均役廳)·죽소허독서(竹所虛讀書)·서하시화(西河詩話)·천문책(天文策)·지리책(地理策) 등 천문·지리에서 인물평, 각종 제도가 66개 항목으로 다양하게 실려 있다.

제4책에는 시론(詩論)·예론(禮論)·동국지형(東國地形)·백두산(白頭山)·왕인(王仁)·백편상서(白篇尙書)·불법지시(佛法之始)·하수오(河首烏)·오미자(五味子)·고려과제(高麗科制)·고려학교지법(高麗學校之法)·삼한지방변(三韓地方辨)·고려관제(高麗官制) 등 40개의 항목이 실려 있다.

총 248개 항목에 역사적인 사항이 대부분 기술되어 있으며, 경전(經傳) 및 기타 서적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