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엽전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중기 이후 무과에서 실시한 활쏘기 종목 또는 그 화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 이후 무과에서 실시한 활쏘기 종목 또는 그 화살.
내용

활쏘기 종목의 하나로 그 사용하는 화살의 촉이 버드나무잎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화살의 무게는 8돈쭝이었으며, 120보 거리에서 쏘게 되어 있었다.

표적은 세로 6척 6촌, 가로 4척 6촌이었고, 정곡은 세로 2척 2촌, 가로 1척 5촌이었다. 조선 초기부터 사용한 화살이나 무과의 종목으로는 중기부터 신설된 것으로 보이며, 1746년(영조 22)의 『속대전』에서 법제화되었다.

무과 식년시를 비롯하여 도시(都試)·금군시사(禁軍試射)·정시(庭試)·알성시(謁聖試)·중시(重試) 및 각종 별시(別試)의 정규 종목에 포함되었고, 선전관·무겸선전관(武兼宣傳官)·수문장·금군(禁軍)·호위군관(扈衛軍官)·충익위(忠翊衛) 기타 잡다한 시취에는 이것이 유일한 종목이 되었다.

촉이 뾰족하고 가는 것은 쓰지 못하게 하였으나 무과 초시·복시에는 허용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5발을 쏘는 것이 규정화되었다.

참고문헌

『속대전(續大典)』
『대전통편(大典通編)』
『만기요람(萬機要覽)』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