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충청도수군절도사, 남양부사, 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칭
화중(和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80년(성종 11)
사망 연도
1546년(명종 1)
본관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주요 관직
충청도수군절도사|남양부사|충청도병마절도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충청도수군절도사, 남양부사, 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화중(和仲). 아버지는 공조참판 윤보(尹甫)이며,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윤여필(尹汝弼)의 아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4년(연산군 10) 이세좌(李世佐) 문죄 때 연루되어 수장(受杖)된 뒤 변방지역으로 귀양갔다가 충주로 옮겼으며, 1506년 중종이 즉위하자 풀려났다.

이듬해 선전관·훈련원주부·감찰을 역임하였다. 그 뒤 형관(刑官), 1512년(중종 7) 사복시판관(司僕寺判官), 1515년 상의원판관(尙衣院判官)을 지냈다. 1517년 돈녕부첨정이 되고, 1528년 돈녕부정으로 승진하였으며, 훈련원정을 거친 뒤 1534년 통례원우통례(通禮院右通禮)를 거쳐, 영흥부사(永興府使)가 되었다.

이어 1538년 충청도수군절도사가 되고, 1541년에는 남양부사·충청도병마절도사를 차례로 지냈다. 1543년 함경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고, 1545년(인종 1)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으로서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의 역모사건에 관련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동고유고(東皐遺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