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흥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숙흥, 계흥의 난과 관련된 관리. 주모자.
이칭
이칭
칠현금, 왕산악, 남원경, 경문왕, 대산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866년
주요 관직
이찬
관련 사건
숙흥·계흥의 난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숙흥, 계흥의 난과 관련된 관리. 주모자.
개설

관등은 이찬(伊飡)에 이르렀고 거문고 타는 법을 전수하는 데 공헌하였다.

생애와 활동사항

거문고는 진나라 사람이 고구려에 보낸 칠현금(七絃琴)을 왕산악(王山岳)이 개량하여 하나의 악기로 발전시켰는데 신라에서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옥보고(玉寶高)-속명득(續命得)-귀금이貴金)으로 전수되었다. 그런데 귀금이 지리산에 입산하여 나오지 않으므로 왕은 금도(琴道)가 단절될 것을 염려하였다. 이에 왕명을 받들어 남원경(南原京)의 사신(仕臣)이 되어, 총명한 소년 안장(安長)과 청장(淸長) 2인을 뽑아서 지리산 운상원(雲上院)에 보내어 귀금에게 거문고 타는 법을 배우게 하였으나 귀금은 그 기술을 다 가르쳐주지 않았다. 이에 윤흥이 귀금을 찾아가서 예의와 정성을 다하여 비법을 전수해줄 것을 청하였다. 이 후 귀금은 비법을 안장에게 전해주고 안장은 극종(克宗)에게 전하여 널리 퍼졌다 한다.

그런데 윤흥은 866년(경문왕 6) 10월에 동생인 숙흥(叔興)·계흥(季興)과 더불어 모반을 도모하였다. 이 모반은 그들이 문성왕대에 왕실측근으로 왕권에 밀착되어 활약하다가 경문왕이 왕위에 오름으로써 왕위가 균정계(均貞系)에서 헌정계(憲貞系)로 옮아감에 따라 균정내에서 불만이 쌓였고 이에 균정계에서 다시 왕위를 찾으려는 의도에서 일으킨 것이다. 그러나 일이 발각되어 대산군(岱山郡 :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으로 달아났지만 체포되어 일족과 더불어 죽임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동사강목(東史綱目)』
「신라(新羅) 경문왕대(景文王代) 수조역사(修造役事)의 정치사적(政治史的) 고찰(考察)」(김창겸, 『계촌민병하교수정년기념사학논총』, 1988)
「신라시대(新羅時代) 반역(叛逆)의 역사적(歷史的) 성격(性格)」(강성원, 『한국사연구』 43, 1983)
「신라하대(新羅下代)의 왕위계승(王位繼承)과 정치과정(政治過程)」(이기동, 『역사학보 』85, 1980)
집필자
김복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