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파 대청리 고분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북도 은파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은파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내용

마을 어귀의 산기슭과 밭 가운데에 토축(土築)과 석축(石築)무덤 약 50여 기가 있고 마을 사이를 끼고 흐르는 개울을 따라 올라가면서 수십 기가 더 분포되어 있다.

봉토는 남쪽만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다른쪽은 급경사를 이루는 방대형(方臺形)으로 동서 길이 25m, 남북 길이 26m, 높이 약 3m 가량이다. 봉토는 돌이 전혀 섞이지 않은 황색 점토로 이루어져 있었고 그 안에는 남향한 외방무덤[單室墓]이 만들어져 있었다.

돌방은 크고 작은 점판암을 흙과 회를 섞어 쌓아올리고 겉에는 두께 2㎝ 정도로 회를 덧발랐다. 널방[玄室]은 남북 길이 250㎝, 동서 길이 169㎝의 장방형으로 밑바닥에도 돌을 깔고 회를 덧발랐다. 천장에 이르러 평행굄식으로 좁혀 올라가 궁륭식천장(穹窿式天障)을 이루었고 그 위에는 1장의 판돌로 된 뚜껑돌을 덮었다.

남벽면에 뚫린 길이 225㎝, 너비 81㎝의 널길[羨道]은 동벽면에 닿을 만큼 동쪽으로 치우쳐 있었다. 여기에서는 널길 중간까지만 벽면에 회를 바르고 바깥쪽은 돌벽 그대로 두었다.

널길 입구에는 판돌과 잡석으로 막음돌[閉塞石]시설을 하였지만 도굴자에 의해 파괴되어 있었고 문돌[門扉石]도 반출된 채 이맛돌과 문설주만 남아 있다. 널길의 서벽 밑바닥에서는 배수구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널방의 동남쪽 널길 부근과 북벽쪽의 밑바닥에서 몇 개의 인골편이 수습되었고 널길 문턱 밑에서는 입두형(笠頭形)의 관못이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무덤은 지금까지 조사된 고구려고분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것 중의 하나로서 고구려고분의 분포범위를 어림할 수 있는 지표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1호분 발굴보고」(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편, 『고고학자료집』1958년 1집, 과학원출판사)
집필자
지건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