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재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강빈의 시 · 서(書) · 제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빈의 시 · 서(書) · 제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곽종석의 교정을 거친 원고본으로 간행 여부는 미상이다. 서문과 발문 모두 없다.

서지적 사항

7권 3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책의 첫머리에 「제채계통문 祭蔡季通文」 등 제문 3편이 있다. 권1·2에 시 458수, 권3∼5에 서(書) 128편, 권6에 제문 27편, 고유문 9편, 애사 3편, 권7에 유사 2편, 묘지명 1편, 광지(壙誌) 1편, 잡저 6편, 서(序) 6편, 기(記) 3편, 잠명(箴銘) 10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명승고적을 탐방하고 경치나 감회를 읊은 것이 많다. 「희방폭포(喜方瀑布)」 2수를 비롯해 「월영루(月影樓)」·「각화사(覺華寺)」·「해인사(海印寺)」·「선죽교(善竹橋)」·「만월대(滿月臺)」·「불국사(佛國寺)」 등에는 아름다운 경치를 탄상(嘆賞)하면서도 당시의 시대 상황에 대한 갈등과 고민이 함축되어 있다.

「동경회고(東京懷古)」·「절영도(絶影島)」·「도산추야차면우진퇴운(陶山秋夜次俛宇進退韻)」 등에서도 시대 상황으로 인해 가슴에 쌓인 울분을 토로하고 있다. 영물시(詠物詩)로는 「채국(採菊)」·「상풍(賞楓)」·「조매탄(凋梅嘆)」 등이 비교적 수준 높은 작품이다. 「문침(聞砧)」은 가을 달밤에 은은히 들려오는 다듬이소리를 소재로 하여 감정을 읊은 것으로 문학성이 돋보인다.

이 밖에 증별(贈別)·차운(次韻)·화답(和答)류와 만시가 많아 저자의 교우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증별시로는 곽종석(郭鍾錫)에 대한 것이 4·5수 있고, 만시로는 김흥락(金興洛)·권연하(權璉夏)에 대한 것 등 상당수가 있다.

서(書)는 분량은 많으나 학문적인 내용은 단편적으로 실려 있다. 그 중 「답곽성서(答郭聖緖)」에는 상수(象數)·복서(卜筮) 등에 관해, 「답홍거원(答洪巨源)」에는 『대학』·『중용』의 경의해석(經義解釋)에 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잡저는 논(論)·설(說)·서후(書後)·자사(字辭) 등으로, 이 중 「종죽설(種竹說)」은 일상생활을 소재로 하여 자신의 사상이나 인생관을 내보인 글이다. 서(序) 3편은 모두 송서(送序)이다. 「태잠(怠箴)」·「욕잠(欲箴)」·「시비잠(是非箴)」 등의 잠에는 저자의 규범적 생활태도와 인생관이 나타나 있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