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두충렬록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작품/문학
창작 연도
1914년
내용 요약

「이두충열록」은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1914년에 창작 · 유통된 이 작품은 이태원과 두성완이란 남녀 주인공의 삶을 서사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의 비범한 탄생, 남녀 인물의 정혼, 가족과의 분리와 수난, 문무 학습, 국가에 세운 공로, 가족과의 재회 및 혼인 등의 내용을 통해 볼 때, 전대 고소설 중에서 영웅소설 유형과 가깝다. 또 여성 영웅소설의 면모 역시 갖추고 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상하 2책. 국문 활자본. 1914년에 간행된 문익서관본(文益書館本)이 전한다. 남자 주인공 이태원과 여자 주인공 두성완의 고난과 충절이 주된 내용이다.

낙은 선생 이봉우는 부인 사씨와의 사이에 아들 태원을 얻은 뒤, 가동 오산의 방자함을 벌하다가 죽는다. 오산이 그 자식의 복수를 두려워하여 태원을 내다 버리게 한다. 호숫가에 버려진 태원은 주생과 위씨 부인에 의하여 구원되어 몽득이라는 이름으로 양육된다. 위씨가 죽고, 주생은 여씨와 재혼한 뒤 죽는다.

여씨가 왕생과 정을 통하자 몽득이 도망하여, 다시 반태공의 보호를 받아 자란다. 반태공이 죽자 몽득은 그 부하 돈석에 의하여 쫓겨나고, 때마침 과거가 있어 주1로 길을 떠난다. 도중에 몽득은 독고황의 딸 향은, 양평현 염대가의 딸 만련춘, 성남 자원외의 딸 옥련, 옥련의 외조 반노공 등을 만나게 된다. 이들은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경사에 이르러 과거에 응시한다.

한편, 두성완은 태학사 용암 선생의 증손인 두원과 양씨 사이에 태어난 여자로, 이태원과 혼인을 약속한다. 두성완은 절개를 지키기 위하여 남장을 하는데 이태원이 과거에 응시한다는 소문을 듣고 경사로 떠난다. 두성완은 도중에 진공의 딸 몽란, 손악의 딸 영운, 농월, 현공, 엄경현 등을 만나 도움을 받고 설시랑 택상의 딸 벽랑과는 혼인까지 한다.

주몽득과 두성완은 과거에 응시하여 함께 장원급제를 한다. 과거 시험장에서 만난 두 사람은 혼인을 약속했을 때, 주고받은 옥패를 확인하고 마침내 혼인한다. 두 사람이 도중에 만난 화 소저 정랑(벽랑), 설 소저, 마기실, 정기실, 염희, 장희 등이 각각 경사에 이르러 차례로 이태원과 혼인한다.

정랑과의 혼인을 이루지 못한 왕귀비의 동생 한림이 이태원을 음해하기 위하여 광릉에서 일어난 도적을 평정하는 데 이태원을 추천한다. 이태원은 광릉의 도적과 소주의 번진을 인정으로 감화시킨다. 다시 왕한림의 건의로 이태원은 북로화친의 천사로 파견되는데, 정 소저의 도움을 받아 선우를 물리치고 영화롭게 귀환한다.

황성에서는 왕귀비가 정실을 음해하려다 두 소저의 신력으로 음모가 밝혀지자, 황제가 왕귀비를 죽이고 왕한림은 좌천시킨다. 이때 마륭의 부인이 낭섬과 정을 통하여 마륭을 죽이고 낭섬은 서랑왕이라 자칭한다. 서랑왕이 반태공의 아들 반기와 응하여 남쪽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묘청과 동호랑이 결탁하여 서쪽에서 반란을 일으킨다. 이태원과 명지휘가 서랑왕과 반기의 반란을 평정하고, 화부인과 정소저의 도움으로 묘청을 죽이고 오랑캐를 물리친다.

묘청은 아들 장규를 장태감의 양아들로서 황성에 들여보내 황제를 죽이려고 한다. 그러나 장규의 계책이 정 소저에 의하여 발각되어 마침내 반란이 모두 평정된다. 황제는 이태원의 충정과 두성완의 공렬을 높이 사서 이태원을 천하병마대원수로 임명하고 두씨와 화씨에게는 충렬비와 효열비를 지어준다. 이태원의 여덟 부인이 낳은 자녀들이 모두 자라 한 해에 둘씩 혼인하였지만, 설 부인과의 사이에서 난 필병만은 양왕 딸과의 혼인을 거부하고 도망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에서는 여성들의 활약상이 남성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돋보인다. 남자 주인공이나 국가가 변란으로 위기에 처할 때마다 여성, 곧 남자 주인공의 처들이 차례로 등장하여 적을 물리친다.

부모를 잃은 주인공이 겪게 되는 시련과 박해는 불안정한 양육자들과의 계속되는 만남을 통하여 극단적인 모습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아울러 필병이 추물인 양왕 딸과의 혼인을 거부하고 도망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종결된다는 점에서 연작형 대하소설의 하나라는 추측도 가능하지만, 현재까지는 이를 증명할 작품들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한편, 이 작품은 인물에 대한 살인, 폭행, 탈취, 감금 등이 만연해 있고 재물, 성, 매매의 개념이 노골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면모는 신소설의 영향을 받는 결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20세기 초반 사회 및 독서 환경의 변화를 고소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응했는지 보여준다.

참고문헌

단행본

논문

차충환,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국제어문』 50, 국제어문학회, 2010)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