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면우 ()

유교
인물
조선후기 예조참판, 동지의금부사, 호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성여(成汝)
유형(維馨)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12년(순조 12)
사망 연도
1878년(고종 15)
본관
연안(延安)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예조참판|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예조참판, 동지의금부사, 호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여(成汝), 호는 유형(維馨). 아버지는 이조판서에 증직된 이봉수(李鳳秀)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로 심헌(沈獻)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이학수(李鶴秀)에게 입양되었다. 가학(家學)을 이어 경사(經史)를 편력하고, 시문에 능통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36년(헌종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과·선전관 등 임시직으로 있다가, 생가의 부모가 죽고 양부가 유배 생활을 하는 등 집안의 환란이 계속되자 집에 돌아와 치가(治家)에 힘썼다.

그 뒤 1850년(철종 1) 원릉참봉(元陵參奉)에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사옹원과 선공감(繕工監)의 봉사, 전생서직장(典牲署直長)·한성부주부·의금부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857년 홍문관교리·사간원사간 등을 거쳐 사복시정이 되었으며, 다시 응교·수찬·서학교수(西學敎授) 등을 지냈다. 또한 묘호도감(廟號都監)의 도청(都廳)이 되었다가 통정대부에 승자(陞資)되어 호조참의가 되고, 다시 승정원우부승지가 되었다.

1858년 외직으로 춘천부사로 나갔다가 이듬 해 다시 내직인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고, 그 뒤 형조·이조·호조 참의를 역임하였다.

1865년(고종 2) 가족을 데리고 지산(芝山)으로 내려가 은거했으나, 1867년 다시 좌승지에 임명되고 가선대부에 승자되어 예조참판에 승진, 그 뒤 동지경연사·동지춘추관사·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 등을 지냈다. 1870년 이후부터는 지산에 내려가 은거하였다. 관직에 있는 동안에는 삼정의 문란 등 시폐를 개선하기에 힘썼다.

또한 역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동서고금의 인물을 독자적인 안목에서 평가한 글을 많이 남겼다. 저서로는 『유형유고(維馨遺稿)』 6권 3책이 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유형유고(維馨遺稿)』
『철종실록(哲宗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