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구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이칭
이칭
훈실전
작품/문학
창작 연도
19세기
내용 요약

「이윤구전」은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고려시대가 배경이며 선조 대의 업보로 인해 절손의 위기를 맞은 7대 독자 이윤구와 최씨 부부가 선조의 악행을 상쇄할 만한 선행을 쌓고 용왕의 도움으로 각종 위기를 극복하여 마침내 가문의 창성을 이룬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의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서지사항 및 이본

1책의 국문 필사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29장)과 사재동(史在東) 소장본(37장) 및 김동욱 소장본(34장) 「훈실젼」(부제 「윤구젼」) 등 총 3종의 이본이 전한다. 이본 연구 결과 국립중앙도서관본이 가장 선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7대 독자인 이윤구는 어려서 부친을 잃고 모친 슬하에서 자랐다. 최 진사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을 얻었으나 이후 모친이 별세하고 아들도 곧 죽는다. 꿈에 나타난 모친을 통해 자식의 죽음이 선조의 업보임을 알게 된 이윤구 부부는 이후 선행에 힘쓴다. 이윤구는 도적을 만난 노승을 구해주고, 최 부인은 병이 난 장한림의 아들을 젖 먹여 살린다.

하루는 황 판서가 이윤구 어머니의 묘 뒤에다 자기네 묘를 쓰자, 이윤구는 그 묘를 파헤치고 어머니의 산소를 다시 만든다. 황 판서의 보복으로 이윤구는 처형을 당할 지경에 이르게 되는데, 어사가 된 장한림의 아들이 이윤구를 구해준다.

이윤구는 제주도로 유배를 가다가 배가 난파하여 표류한다. 잉태 중인 최 부인이 그 소식을 듣고 친정으로 가는 도중 겁탈 당할 위기에 이르지만, 몸종 귀선이 최 부인으로 가장하여 물에 자신의 몸을 던짐으로써 최 부인을 구한다. 물에 빠진 귀선은 용왕의 도움으로 구출된다.

최 부인은 계모의 주7 강요를 피해 달아나지만, 계모는 최 부인을 쫓아와 가혹 행위를 하다가 천벌을 받아 즉사한다. 최 부인은 쌍둥이를 낳고 갖은 고생을 하며 절에서 지낸다. 여승들이 쌍둥이를 버렸다가 장한림의 계시를 받아 다시 기른다. 이윤구는 타국에서 지내다 용왕이 보낸 귀선과 만난다.

이윤구는 왜적의 침입을 알고, 용왕이 보내준 부채 · 보검 · 말을 가지고 출전하였지만 위기에 몰리게 된다. 이에 장한림이 쌍둥이를 출전시키고, 용왕도 귀선이 낳은 쌍둥이를 보내 이윤구를 구출하게 한다. 부자는 전쟁터에서 만나 왜적을 물리치고 이후 높은 벼슬에 오른다. 이윤구와 최 부인도 다시 만나서 가족들이 잘 살게 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주8를 통해 가문의 주13주14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유교 사상 중에서도 '통(統)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피동적 존재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배경 설정을 국내로 한 점, 여러 구전 설화를 포함하고 있는 점, 잡가 계열의 주11를 활용하고 있는 점, 근대식 표기에 가깝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볼 때, 19세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사건의 긴박한 전개보다는 사건의 다양화를 꾀하여, 여러 작품을 하나로 형상화하였다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친근한 사건을 수용하고 미천한 인물을 주요 인물로 설정하여 하층 독자에 부합하려 한 데는 의의가 있으나 천상 질서의 강화, 사건 전개의 산만함 등이 한계점으로 부각된다.

천상계와 지상계의 관계를 주12라는 상식적인 논리로 거듭 설명하면서, 천상계를 형상화하는 데도 염라대왕이나 용왕 같은 민간 신앙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천상계와 직접 통하는 인물이 주인공이 아닌 몸종 귀선이라는 점도 특이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노영근, 「소설과 아내탐색 모티프」(『어문학논총』 2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02)
한정선, 「<이윤구전> 연구」(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주석
주7

결혼하였던 여자가 남편과 사별하거나 이혼하여 다른 남자와 결혼함. 우리말샘

주8

대(代)를 잇는 자식. 우리말샘

주11

소설이나 판소리 따위의 중간에 끼어 있는 시가(詩歌). 우리말샘

주12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우리말샘

주13

영원히 계속함. 우리말샘

주14

기세가 크게 일어나 잘 뻗어 나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