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곤 교지 ( )

목차
관련 정보
이장곤 교지
이장곤 교지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1856년 문신 · 학자 이장곤이 ‘정도공(鄭度公)’의 시호를 제수받은 교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이장곤 교지(李長坤 敎旨)
분류
기록유산/문서류/국왕문서/교령류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6년 03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창밀로 34 (창녕읍, 창녕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56년 문신 · 학자 이장곤이 ‘정도공(鄭度公)’의 시호를 제수받은 교지.
내용

1996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유품은 1856년(철종 7, 청나라 함풍 6)에 이장곤에게 ‘정도공(鄭度公)’의 시호를 증하는 교지이다. 두텁게 배접된 붉은 색의 금박당지(金箔唐紙)로 만들었으며, 가로 118㎝, 세로 69㎝이다.

내용은 숭정대부 의정부우찬성 겸 판의금부사원자보양관(崇政大夫議政府右贊成 兼 判義禁府事元子輔養官)을 지낸 이장곤에게 ‘정도공’이라는 시호를 증한다고 하고, 그 옆으로 조금 작은 글씨로 ‘貞(정)’이라고 한 것은, 숨기지 않고 꺾이지 않음으로써, ‘度(도)’라고 한 것은 마음이 능히 의(義)를 지음으로써”라고 하여 정도공이라고 한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함풍 6년의 6년부분에 관인(官印)을 날인하였다. 교지 전체의 현존 상태는 양호하다. 이장곤의 본관은 벽진(碧珍)이고, 자는 희강(希剛) · 용가(龍哥)요, 호는 금헌(琴軒) · 우만(寓灣) · 학고(鶴皐)이다. 한성참군(漢城參軍)을 지낸 승언(承彦)의 넷째 아들이다.

1474년(성종 5)에 출생하여 1495년(연산군 1)에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다. 1502에 문과에 급제하여 1504년에 홍문관교리에 임명되어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연산군의 뜻에 거슬리어 거제도에 유배되었으며, 그 뒤 복직된 이래 중앙과 지방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