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

목차
인문지리
지명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이지은소(梨旨銀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영주(永州: 지금의 영천시)에 소속된 이지은소(梨旨銀所)였는데, 1018년(현종 9) 영천(永川)과 함께 경주에 소속되었다. 고려 충숙왕 때 이지현으로 승격시켜 다시 영주의 임내로 하였다가,1394년(태조 3) 신녕현(新寧縣)의 속현으로 하였다. 『대동여지도』에는 이지가 신녕현의 속현으로 영천군에 월입된 비월지(飛越地, 또는 越境處)로 표시되어 있다.

이지은소라는 지명의 유래는 이곳에서 나는 백금을 이곳 주민들이 국가에 세금으로 바친 데서 비롯된다. 고려 중기에 이 고을 사람들이 국가의 명령을 어겼으므로 현을 폐지하고 백성들의 재산을 몰수하였다. 따라서 은소(銀所)는 천민집단의 소(所)를 뜻하는 것이다. 당시에는 백금이 없었으므로 이것이 은(銀)을 뜻하는 것으로 본다.

그 뒤 이곳 주민 중 중국에 들어가 공로를 세운 사람이 있어 현(縣)으로 승격되었다. 지금의 신녕면과 청통면 지역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