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총방 ()

목차
관련 정보
이진총방 / 열성항오도
이진총방 / 열성항오도
국방
문헌
조선시대 무예청별감에서 국왕 임석하에 시행하는 군사조련의 절차와 방법을 기술한 군서. 병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무예청별감에서 국왕 임석하에 시행하는 군사조련의 절차와 방법을 기술한 군서. 병서.
내용

1책. 목판본. 일명 ‘어정이진총방(御定肄陣總方)’이라고도 한다. 1843년(헌종 9)에 중간되었다.

이 책은 출시(出示)·열성항오(列成行伍)·입장(入場)·소개문(小開門)·승단(升壇)·승기(升旗)·초총령(招總領)·청발방(聽發放)·순시발방(巡視發放)·총령하지방(總領下地方)·개영행(開營行)·분로(分路)·열진(列陣)·전층제방(前層齊放)·후층출전(後層出戰)·후층제방(後層齊放)·전층출전(前層出戰)·양층구출(兩層俱出)·간화첩퇴(間花疊退)·하방영(下方營)·발초급(發樵汲)·사공죄(査功罪)·수초급(收樵汲)·취반(炊飯)·사면조(四面操)·별진호령(別陣號令)·수영(收營)·사조(謝操)·산조(散操)·낙기(落旗)·분련(分練)·야조(夜操) 등 32항으로 나누어 조련절차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그 순서는 ≪병학지남 兵學指南≫의 장조정식(場操程式) 및 야조정식(夜操程式)과 유사하다. 책의 후반부에는 양의진도(兩儀陣圖)·삼재진도(三才陣圖)·입교장열성항오도(入敎場列成行伍圖)·청도도(淸道圖)·기고대상파열도(旗鼓臺上擺列圖)·총령청장호적인출마로도(總領聽掌號笛引出馬路圖)·총령도대하정립도(總領到臺下定立圖)·총령평렬청발방도(總領平列聽發放圖)·개영행도(開營行圖)·분이로행영도(分二路行營圖) 등 조련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각종 작진법(作陣法)을 도시하였다.

그 밖에 분사로행영도(分四路行營圖)·행영전신향후도(行營轉身向後圖)·일로행우경렬진도(一路行遇警列陣圖)·이로행우경렬진도(二路行遇警列陣圖)·사로행우경렬진도(四路行遇警列陣圖)·후층출전도(後層出戰圖)·전층출전도(前層出戰圖)·양층구출오전도(兩層俱出鏖戰圖)·개화누퇴도(開花壘退圖)·발기입표도(發旗立表圖)·일로행렬변위방영도(一路行列變爲方營圖) 등이 실려 있다.

또한 이로행렬변위방영도(二路行列變爲方營圖)·사공죄발방도(査功罪發放圖)·일총방진도(一總方陣圖)·일령방진도(一領方陣圖)·방영일면윤방도(方營一面輪放圖)·변위이층전신향후도(變爲二層轉身向後圖)·개열진이로행도(開列陣二路行圖)·원진도(圓陣圖)·직진도(直陣圖)·예진도(銳陣圖)·곡진도(曲陣圖)·현무진도(玄武陣圖)·육화진도(六花陣圖)·구군진도(九軍陣圖)·팔진도(八陣圖)도 실려있다.

그 수록순서와 그림의 내용에 있어서 ≪병학지남≫의 것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계묘신간이진총방내부장판(癸卯新刊肄陣總方內府藏板)’이라는 표제지가 있는 ≪이진총방≫이 전해져 오고 있는바, ≪어정이진총방≫에 비하여 수록된 진도의 수가 적고 야조에 관한 사항이 빠져 있는 등 그 내용이 극히 소략하다. 장서각도서·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병학지남(兵學指南)』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