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전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내용 요약

「이화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여타 영웅소설과 다르게 주인공 이화는 초년 고생을 겪지 않는다. 또한 이 작품은 도사를 만나 천서를 받는 등 기이한 인연에 따른 조력자와의 조우가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이화는 괴변이 일어나는 전라도 여산에 자원하는 용기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화는 귀신 이여백의 도움을 받아 사건을 해결하고 조선과 중국 양국에서 높은 벼슬을 한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개설

1권 1책의 국문 필사본이다. 임진왜란 이후의 우리나라와 중국을 배경으로, 민심이 흉흉한 가운데 주1와 다투는 장수 이화(李華)의 이야기를 그린 장편 주2 소설이다. 창작 시기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추정된다.

이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 있다.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은행나무에 살던 여우 요괴를 이화가 퇴치하는 데서 필사가 끝난다.

내용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과 이여백이 구원병을 이끌고 조선에 왔는데 불행히도 이여백은 전사하고 말았다. 한편, 임진왜란이 끝난 뒤 전라도 여산(礪山)에서는 주3이 일어나 그 고을은 거의 주4이 되다시피 하였다.

이때 이화라는 장수가 여산부사를 자원하였는데, 부임 처음에 부내(府內)를 거닐다가 형체를 알 수 없는 짐승이 연못에서 나와 민가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는 따라갔다. 그런데 그 짐승이 “여백아 문열어라.” 하니 문이 스르르 열리고 곧이어 사람의 배앓는 소리가 들려 왔다.

이튿날 이 부사가 그 집 앞에 함정을 파 놓았더니 자라가 빠져 죽었다. 이 부사가 집에 있는 큰 자물쇠를 앞에 놓고 “여백아.” 하고 부르니 그 자물쇠가 대답하였다. 이 부사가 이 고을 원님이 계속 죽은 이유를 물으니, 후원 은행나무 속에 수천 년 묵은 여우 자웅(雌雄)이 있어 원님의 피를 먹는다고 대답하였다.

그래서 나무를 베었더니 요귀 둘이 죽었는데 두 소녀로 변하였다. 이에 놀란 이 부사가 앞으로의 일을 여백에게 물어보니 3년 후에 대국(大國)에 가서 죽게 될 것이라 하였다. 그런데 죽지 않은 암여우는 이화에 대하여 원한을 품고 중국으로 가서 황제의 총애를 받는 주5의 탈을 쓰고 황제를 미혹하여 이화를 잡아들이게 하였다.

이 부사가 부모처자와 이별을 하고 조선을 떠나오는데, 여백의 꾀를 받아 소매 속에 주6를 넣어가지고 가서 여우의 탈을 쓴 총비의 눈알을 빼내어 위기를 모면한다. 그 후 이 부사는 영릉태수(永陵太守)를 주7받아 중국에서 벼슬을 하다가 조선에 돌아와 여백을 위하여 사당을 지어 제사를 지내 주었다.

의의와 평가

작품 내용이 시종일관 황당무계한 요귀의 퇴치로 사실성(寫實性)이 결여되어 전기 소설의 부류에 속한다. 작품 전반에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후반에는 중국을 배경으로 하였다는 점과 임진왜란 당시의 현실 세계를 소재로 하였다는 점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여백에 대한 이야기는 임진왜란 후 이여송 장군의 이야기가 우리나라 도처에 전하여 내려오고 있듯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화전」은 이러한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전래의 요귀 퇴치 설화를 주8로 삼은 작품이다. 이는 전대 서사의 장점을 포용하면서도 독자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인물 및 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던 작가의 의도로 이해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연구사, 1985)

논문

박송희, 「『이화전』의 무속요소 고찰」(『우리문학연구』 33, 우리문학회, 2011)
이종필, 「「이화전」에 나타난 임진전쟁의 기억과 상상적 존재들의 의미 : 19세기 말의 시대상을 통해 본 시론적 고찰」(『동방학』 31,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이주영, 「〈이화전〉연구」(『과학과 문화』 1,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소, 2004)
주석
주1

요망하고 간사스러운 마귀. 우리말샘

주2

중국 당나라 때 발생한 문어체 소설. 대체로 귀신과 인연을 맺거나 용궁에 가 보는 것과 같은 기괴하고 신기한 일을 내용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실려 있는 다섯 작품이 여기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3

예상하지 못한 괴상한 재난이나 사고. 우리말샘

주4

읍을 없앰. 또는 그 읍. 우리말샘

주5

임금의 총애를 받는 여자를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6

난 지 1년이 안 된 새끼를 잡아 길들여서 사냥에 쓰는 매. 우리말샘

주7

추천의 절차를 밟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우리말샘

주8

소설 따위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