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백제의 빈굴현(賓屈縣, 또는 賦城, 斌城)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빈성(斌城)으로 고쳐 태산군(太山郡: 지금의 정읍시 태인면)의 영현으로 고쳤고, 현종 때고부(古阜)에 예속시켰다. 그 뒤 다시 태산에 감무를 설치할 때 인의를 함께 다스리게 하였다가 인의를 분리하여 감무를 두었다.
조선 태종 때태산(泰山)과 인의를 합쳐 태인현으로 하여 현의 치소를 태산에 두었다. 그 뒤 인의의 백성들이 치소에 다니기 어려우므로 두 고을의 중간지점으로 치소를 옮겼다. 인의에는 흙으로 쌓았던 옛 성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지역은 호남평야의 남부지역으로 동진강(東津江) 상류의 비옥한 지역을 차지하고 있어 태인과 고부를 잇는 교통상의 요로에 있었다. 인의의 옛 이름인 빈굴은 ‘큰 고을’ 또는 ‘큰 성’이라는 뜻을 가진다. 지금의 태인면 지역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