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공업전문대학 ()

인하공업전문대학
인하공업전문대학
단체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 있는 사립 공업전문대학.
이칭
이칭
인하공전, 인하공업전문대
정의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 있는 사립 공업전문대학.
연원 및 변천

1958년 2월 재단법인 인하학원에 의해 인하공과대학 부설 중앙종합직업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중앙종합직업학교의 전신은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지시로 설치된 직업보도학교로 수도·배선·전기·통신(전화) 등의 분야에 걸쳐 현직에 있는 기술자들을 상대로 직업보도교육을 실시하여 1955년 7월 100여 명의 수료자를 배출하였다.

직업보도학교의 교육은 인하공과대학 교수들이 담당하였는데, 이러한 시스템으로는 기술자 재교육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없어서 문교부와 협의하여 인하공과대학 부설학교로 인가를 받게 되었다. 초대 교장에는 당시 인하공과대학 학장인 최승만(崔承萬)이 겸임하였으며, 신입생은 100명이었다.

직업교육전공부·직업보도부·직업기술자양성부의 3개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직업교육전공부는 수업연한 2년의 초급대학과정, 직업보도부는 수업연한 3년의 고등학교과정이었고, 직업기술자양성부는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숙련공이나 기술자를 재교육하는 과정으로 수업연한은 6개월 내지 1년이었다.

직업교육전공부는 정부와 유네스코의 기금을 지원받아 기초시설을 확충하고 교원들을 해외로 파견하여 교육을 실시하였고, 1962년 2월 그 명칭을 유네스코부로 변경하였다. 직업보도부는 1962년 독일부로 개편하였다가 1965년 4월 한독실업학교로 독립하였다.

기술자양성부는 1955년과 1959년 두 차례의 기술자 재교육을 실시한 뒤 폐지되었다. 이로써 단일부로 남게 된 유네스코부는 1967년 3월 인하공과대학부설공업고등전문학교로 개편하여 수업연한 5년에 기계과·전기과·화공과·건축과를 설치하고 정원 1,600명으로 편성하였다.

1970년 12월 2년제 인하공과대학부설공업전문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79년 1월 인하공업전문대학으로 독립하여 초대 학장에 임달연(林達淵)이 취임하였다. 1990년 전자계산기과, 1991년 야간부에 자동화기계과·항공측량과·건축물관리과·비서과, 1995년 자동차과를 신설하였고, 1998년 6월 사회교육원을 개원하였다. 2003년 호텔경영과·패션디자인과를 신설하고, 2004년 산학협력단을 설치하고, 2012년 1월 30일 종합실습관을 준공하였다. 2013년 7월 25일 학교법인 정석학원과 합병하여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으로 인가받았다.

기능과 역할

교훈은 ‘진(眞)’이며, ‘진실하고 자주적인 지성인, 근면하고 창의적인 직업인, 유능하고 봉사적인 지도자’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이론과 기술, 현장경험과 시장성을 토대로 3천여 산업체와 산업교류협정을 체결하여 실용적이고 생산적인 첨단산업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특히 항공산업 분야의 특성화된 학과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국제교류로 일본의 국제외어관광에어라인전문학교, 니이가타국제자동차전문학교, 아소외어관광제과전문학교, 아소의료복지관광칼리지, 일본외국어전문학교, 간다외어학원과 중국의 심양항공항천대학, 남창항공대학, 창주직업기술학원, 남경항공항천대학금성학원, 전자과기대학성도학원, 청도직업기술학원과 말레이시아 세기대학, 인도네시아 비누스유니버시티(Vinus University), 캐나다 애쉬턴칼리지(Ashton College)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50여 개의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고, 매년 5월에 대학체육대회인 원점체육대회(原點體育大會)와 10월을 전후하여 대학축제인 원점축제(原點祝祭) 및 학생작품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교지 『원점(原點)』과 대학신문인 『인하전대학보』를 발간하고 있다.

현황

2015년 현재 24개 학과에 재학생은 6843명, 전임교원은 172명이다. 부속기관으로 도서관, 평생교육원, 전산정보센터, 예비군대대, 항행안전시설성능적합증명센터, 해양레저센터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대학연감 2010』(한국대학연감편찬위원회, 2009)
인하공업전문대학(cms.itc.ac.kr)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