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임파(任波). 평안남도 진남포 출신. 서울의 배재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3·1운동에 적극 가담하였다가 중국으로 탈출하였고 난징(南京)의 진링대학(金陵大學)에 다녔다. 1922년 중국인을 가장한 ‘임파’라는 이름의 중국여권으로 미국에 건너가 시카고미술학교와 예일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1929년에 예일대학교 미술대학 장학금으로 유럽 미술연구를 떠나 약 1년간 파리에서 제작생활을 하였다. 이 시기 서울에서 파리로 유학을 가 있던 여류 서양화가 백남순(白南舜)과 만나 결혼을 하였고, 함께 파리의 살롱 도톤느(Salon d’Automne) 등에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1930년백남순을 동반하고 서울로 돌아와 부부유화가작품전을 가진 뒤 국내에서의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서화협회전람회와 1934년의 목일회(牧日會) 동인전 및 1937년의 목시회(牧時會) 동인전 등에 부부가 함께 참가하였다.
현재 남한에 전하는 작품은 1930년 귀국 직전에 파리에서 그린 독특한 필치와 세련된 색채구사의 「에르블레 풍경」(국립현대미술관 소장)과 1940년에 그린 「금강산 풍경」 뿐이고 최근 연필화 「십자가의 상」(1929)이 확인되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이는 1931년부터 평안북도 정주의 오산학교에서 미술과 영어교사로 재직하다 광복 직후에 북한의 공산화 추세를 피하여 남한으로 탈출할 때 그 동안의 작품들을 모두 두고 왔기 때문이다.
서울에 정착해서는 미군 군정장관 고문을 지냈고, 정부 수립 후에는 서울세관장을 역임하였다. 새로이 화가로서의 활동을 보이려 할 때 6·25전쟁이 일어나 남침 공산군 기관에 연행된 뒤 생사불명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