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집 ()

목차
관련 정보
자동집
자동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08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승희(李承熙)의 서문, 권말에 이태식(李泰植)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권2·3에 서(書), 권4에 기(記)·논(論)·명(銘)·잠(箴)·제문·잡저·발(跋)·습유(拾遺), 권5·6에 부록으로 만장·제문·행장·묘갈명·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박연폭(朴淵瀑)」·「영추월(詠秋月)」·「소요대(逍遙臺)」·「지몽(志夢)」·「자경(自警)」·「추석(秋夕)」·「송도회고(松都懷古)」·「가야잡영(伽倻雜詠)」 등이 뛰어나다. 서는 이진상(李震相)·박치복(朴致馥)·김성규(金聖規)·곽세명(郭世明) 등과 왕복한 것이며, 시사나 성리학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기는 「복거당동기(卜居唐洞記)」·「누와기(陋窩記)」·「자양동기(紫陽洞記)」·「태소재기(太素齋記)」, 논은 「저수량론(楮遂良論)」·「직불의론(直不疑論)」, 명은 「홍범오사경용도명(洪範五事敬用圖銘)」 등이 역작이다.

잡저에는 「삼재설(三才說)」·「수록(隨錄)」·「곤범(閫範)」·「문지기(聞知記)」 등의 글이 있으며, 습유에는 서·잡저·고유문·경고문·잠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