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 ()

목차
현대문학
개념
정해진 규칙적 형식의 리듬에서 벗어나 연상률에 근간을 둔 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정해진 규칙적 형식의 리듬에서 벗어나 연상률에 근간을 둔 시.
내용

산문(散文)과는 달리 통제된 리듬을 지니고 있으며 전통적 율격(律格, meter)이 지닌 규칙적인 음절의 강세패턴(반복되는 음보)이 없다.

시행(詩行)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운(韻, rhyme)도 없으며 자유율(自由律), 곧 내재율(內在律)에 근거하여 어구나 이미지의 패턴이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면서 반복되는 불규칙적인 리듬의 가락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의 자유시 형태와 유사한 것은 ≪구약성서≫<시편 詩篇>과 <아가서 雅歌書> 흠정역(authorized version)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블레이크(Blake,W.)·아놀드(Arnold,M.)는 자유율을 실험하였다. 휘트먼(Whitman,W.)은 리듬 효과가 반복되는 율격의 음보(音步, foot)에 의존하는 대신 리듬의 단위율과 단어·구·절·행의 반복과 균형·변화에 의존하고, <풀잎 Leaves of Grass>에서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시행의 실험을 하여 자유시를 출발시켰다.

그리고 세기 말의 프랑스 상징파 시인들에 의하여 펼쳐진 자유시 운동이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보편화되었다. 자유시가 반복되는 강세와 규칙적인 행법에서 벗어났지만, 그 대신 단어·구·시행들간의 일정하지 않은 간격에 의하여 통제될 때 생기는 구문 단위들간의 중단과 템포, 휴지(pause) 및 박자에 대한 증가된 통제에 이런 종류의 효과가 예시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자유시 형식의 시도는 최남선(崔南善)의 <태백산부 太白山賦>와 <평양행 平壤行>이라는 기행문 속에 있는 시작품, 이광수(李光洙)의 <곰 熊>, 김여제(金輿濟)의 <산녀 山女> 등을 비롯 최승구(崔承九)·현상윤(玄相允)·김안서(金岸曙) 등이 1910년대 중엽에 발표한 일련의 시작품에서 비롯된다.

한편, 자유시에 대한 이론의 도입은 ≪태서문예신보 泰西文藝新報≫(1918) 창간을 전후한 시기에 백대진(白大鎭)·김안서·황석우(黃錫禹) 등에 의하여 소개된 프랑스 상징주의 시 및 시론에서이다.

백대진이 “상징주의는 자유시로다.”라고 한 것을 필두로, 김안서의 <프랑스 시단(詩壇)>에 이르러 자유시에 대한 논의는 본격화된다.

특히, 황석우는 <조선시단의 발족점(發足點)과 자유시>라는 글에서 우리 시단은 자유시로부터 발족하여야 할 것을 역설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자유시의 발상은 프랑스 상징주의 시에 있다는 것과 그 자유시의 내재율, 곧 개성률(個性律)을 영률(靈律)로 명명하고 있는 것이다.

전제시형(專制詩形)이라 불리는 고시(古詩)의 외적 제율(制律)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한 시상을 개성률로 표현하는 것이 자유시라는 것이다. 자유시 형식은 김안서·황석우 등의 이론 도입과 자유시 운동을 발판으로 1920년대에 이르러 보편화된 것이다.

참고문헌

『시론(詩論)』(김기림, 백양당, 1947)
『한국현대시형태론』(김춘수, 해동문화사, 1958)
『한국근대시의 비교문학적 연구』(김학동, 일조각,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