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법귀감 ()

불교
문헌
1827년, 조선 후기 승려 긍선이 쓴 재공 의식에 관한 작법 절차를 기록하여 간행한 불교 의례서.
문헌/고서
간행 시기
1827년(순조 27)
저자
백파 긍선(白坡亘璇)
편자
양진 거사(養進居士) 박치유(朴致維)
권책수
2권 2책
판본
목판본
표제
작법귀감
소장처
동국대 중앙도서관
내용 요약

『작법귀감(作法龜鑑)』은 1827년(순조 27)에 전라남도 장성군 운문암에서 간행한 재공 의식에 관한 불교 의례서이다. 백파 긍선(白坡亙璇, 1767~1852)이 편찬하고 양진 거사(養進居士) 박치유(朴致維)가 출판한 방각본 불서이다. 태인 지역의 방각본 업자인 박치유가 백파의 저술을 맡아 출판한 불서라는 점에서 출판 문화사적으로 의의가 있다.

정의
1827년, 조선 후기 승려 긍선이 쓴 재공 의식에 관한 작법 절차를 기록하여 간행한 불교 의례서.
저자 및 편자

『작법귀감(作法龜鑑)』은 주1주2에 올리는 주5 의식에 관한 작법 절차를 기록한 책이다. '재식을 행함에 일정한 격식이 없고 완전한 것이 없음'을 염려한 백파 긍선(白坡亙璇, 1767~1852)이 제자들의 부탁을 받아 지은 것이다. 이전에 사용하던 의식문의 오류와 결함을 교정하고 보충하여, 통일된 재공 의식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했다.

전라남도 장성군 운문암에서 간행한 불서로는 1825년(순조 25)에 간행한 『대승기신론소필삭기(大乘起信論疏筆削記)』와 1827년(순조 27)에 간행한 『작법귀감』 두 권이 있다. 이들 불서는 백파 긍선이 편찬하고 양진 거사(養進居士) 박치유(朴致維)가 출판한 방각본 불서이다. 이 두 불서의 끝에 ‘양진거사박치유서(養眞居士朴致維書)’라는 문구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태인 지역의 방각본 업자인 박치유가 백파 긍선의 저술을 맡아서 출판한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서지사항

『작법귀감』은 2권 2책의 목판본이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작법귀감』은 책머리에 편자의 서문이 있고, 본문 앞에 범례가 있다.

상권에서는 재공 의식 때 불법승 삼보(佛法僧三寶)를 청하는 삼보통청(三寶通請)의 예비 의식을 다루고 있다. 예비 의식은 향게(香偈) · 천수다라니 · 사방찬(四方讚) · 도량게(道場偈) · 참회게 · 참회진언 · 정삼업진언(淨三業眞言) ·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 건단진언(建壇眞言) ·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의 순으로 이루어진다고 작법의 절차를 서술하고 있다.

다음 주3에서는 삼보를 우러르고 그 덕을 찬양하는 삼보통청을 한다. 이어 헌좌게(獻座偈) · 공양게 · 변식진언(變食眞言) · 감로수진언 · 유해진언(乳海眞言) · 육법공양(六法供養) · 보공양진언을 한 뒤 축원하는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상은 불전 재공의 통상적 의식이다.

그 다음으로 관음청(觀音請) · 지장청(地藏請) · 신중청(神衆請) · 산신청(山神請)의 의식이 뒤따른다. 또한 망령 등을 천도하는 의식인 대령정의(對靈正儀)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이어 망인의 기일(忌日)에 따라 천도하는 상용시식의(常用施食儀), 망령에게 주7을 올리는 상용영반(常用靈飯), 망승(亡僧)에게 제사 드리는 종사영반(宗師靈飯), 주8에게 공양을 올리는 신중대례의 절차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 외 미타청(彌陀請) · 독성청(獨聖請) · 성왕청(聖王請) · 조왕청(竈王請), 비구십계(比丘十戒)를 받는 의식, 비구니의 8경계(八敬戒) 등도 상권에서 서술하고 있다.

하권에는 불상의 점안식(點眼式), 나한(羅漢)의 점안식, 시왕(十王)의 점안식 및 분수(焚修) 작법과 가사 점안식 등의 의식 절차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작법귀감』은 조선 말 주6에서 각양각색으로 행해지던 작법의 절차를 정리하고 보충한 것으로 불교 의식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또한 태인 지역의 방각본 업자인 박치유가 백파 긍선의 저술을 맡아서 출판한 것이라는 점에서 출판 · 문화사적으로 의의가 있다. 한편, 이 책에는 주4의 고 · 저 · 청 · 탁을 가릴 수 있도록 4성(四聲)을 점(點)과 권(圈)으로 표시하고 구두점을 찍어 놓았는데, 이는 범어 연구의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이다.

참고문헌

원전

『석문의범(釋門儀範)』

단행본

논문

김윤수, 「박치유의 방각본 불전과 백파 대사의 『필삭기』」(『한국문헌정보학회지』 25, 1993)
송일기, 「백파 긍선과 양진 거사 박치유의 만남」(『불교문화연구』 8, 2006)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부처의 앞. 우리말샘

주2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곧 불법(佛法)을 지키는 신장이다. 우리말샘

주3

부처나 보살을 청할 때 그 까닭을 먼저 말하는 일. 우리말샘

주4

석가여래의 공덕을 찬미하는 노래. 절에서 재(齋)를 올릴 때에 부른다. ⇒규범 표기는 ‘범패’이다. 우리말샘

주5

부처 앞에 공양함. 우리말샘

주6

승려가 불상을 모시고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우리말샘

주7

죽은 영혼을 천도(薦度)하기 위하여 법식(法食)을 주면서 법문(法門)을 말해 주고 경전을 독송하며 염불하는 따위의 의식을 행함. 또는 그 법식. 우리말샘

주8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곧 불법(佛法)을 지키는 신장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