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처용 ()

목차
국악
작품
조선 전기에 연주된 무가(巫歌).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연주된 무가(巫歌).
내용

이 노래는 「나례가(儺禮歌)」처럼 궁중에서 지내는 나례의식(儺禮儀式)에서 무격(巫覡)에 의하여 불려졌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곡의 선법(旋法)은 평조(平調)이고, 곡의 길이는 한 장단이 16박자로 된 48장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설은 다음과 같다.

중문(中門)안해 셔겨신 쌍처용(雙處容)

아바외문(外門)바○ 둥덩 다리로러마

태종대왕(太宗大王)이 전좌(殿座)를 ᄒᆞ시란ᄃᆡ

태종대왕이 전좌를 ᄒᆞ시란ᄃᆡ

아으 보전칠보(寶錢七寶)지여 살언간만 다롱다로리 대링디러리

아으 디렁디러리 다로리.

이 노래의 악보는『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의 16정간보(井間譜)에 오음약보로 기보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한국가요의 연구』(김동욱, 을유문화사, 196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