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응두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즉경」, 「한야보」, 「슬픈그림」 등을 저술한 시인. 시조시인.
이칭
이칭
하보(何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사망 연도
1972년
출생지
경상남도 통영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즉경」, 「한야보」, 「슬픈그림」 등을 저술한 시인. 시조시인.
생애 및 활동사항

호는 하보(何步). 경상남도 충무(지금의 통영) 출생. 20세까지 할아버지 밑에서 한학(漢學)과 한의학(漢醫學)을 배웠다. 1936년 동아일보 통영지국장을 지냈고, 1965년부터 한국문인협회(韓國文人協會) 부산지부 부지부장을 역임하였다.

유치환(柳致環)·염주용(廉周用)·박영포(朴永浦) 등과 동인지 『생리(生理)』를 발간하여 시운동을 벌였다. 같은 잡지에 시 「가을」(1935.6.), 「나의 해복(解腹)날」(1935.6.), 「제미정(題未定)」(1935.6.), 「상심(傷心)」(1935.9.), 「발길」(1935.9.), 「슬픈 그림」(1935.9.), 「자원(自願)」(1935.9.) 등을 발표하였고, 양장시조(兩章時調) 「즉경(卽景)」(1935.6.)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어 시 「압록강을 건너서면서」(조선문단 24호, 1936.7.)를 발표하였고 신춘문예에 시조 「한야보(寒夜譜)」(문장 15호, 1940.4.)로 추천을 받았다. 그리고 시 「야국(野菊)」(현대문학, 1956.3.), 「산(山)」(현대문학, 1958.8.), 「빛은 살아 있다」(현대문학, 1962.2.), 시조 「습유사제(拾遺士題)」(시조문학, 1967.6.) 등을 발표하였다.

처음에는 자유시를 쓰다가 뒤에 시조로 전환하였다. “해거름에 장끼가 날아간 뒤/갈대도 무서워 바시시 떨고/메뚜기도 오늘은/시름시름 조을고”(‘가을’의 2련, 생리, 1935.6.). 이 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향토적인 정경이 한 폭 그림처럼 서정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으며, 시조작품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저서로는 유작시조집 『한야보』가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