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설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살아 있던 것이 죽었다 다시 살아나거나, 훼손되거나 상실되었던 신체 일부가 되살아나는 내용의 이야기.
내용 요약

「재생설화」는 살아 있던 것이 죽었다 다시 살아나거나, 훼손되거나 상실되었던 신체 일부가 되살아나는 내용의 이야기다. 살아 있던 것은 사람일 수도 있고 동물일 수도 있으며, 어떤 세계나 자연물일 수도 있다. 신체 일부가 태어날 때부터 없거나 중간에 어떤 사건으로 인해 사라지거나 훼손되면, 이야기의 결말부에서 완전한 신체로 거듭나는 사례가 있다. 이런 이야기 역시 재생의 모티프를 품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정의
살아 있던 것이 죽었다 다시 살아나거나, 훼손되거나 상실되었던 신체 일부가 되살아나는 내용의 이야기.
내용

「재생설화」는 살아 있던 것이 죽었다 다시 살아나거나, 주1되거나 주2되었던 신체 일부가 되살아나는 내용의 이야기다. 살아 있던 것은 사람일 수도 있고 동물일 수도 있으며, 어떤 세계나 자연물일 수도 있다. 신체 일부가 태어날 때부터 없거나 중간에 어떤 사건으로 인해 사라지거나 훼손되면,이야기의 결말부에 완전한 신체로 거듭나는 사례가 있다. 이런 이야기 역시 재생의 주5를 품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재생설화」 중에는 죽었던 이가 되살아나거나 땅속으로 사라졌던 이가 다시 나타나는 유형(類型)의 이야기들도 있지만, 죽는 장면이 나타나지 않고 죽음을 암시(暗示)하는 장면만이 등장하는 유형의 이야기들도 있다. 또한 신체 일부가 재생하는 경우도 일종의 치료나 보상(補償)의 결과가 아니다. 죽었다 되살아나거나 신체 일부가 재생하는 모든 장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8을 접하게 되는 계기(契機)이다.

신성성을 접하게 되는 과정에서는 이를 표상(表象)하는 신성한 공간이나 주54의 대상, 혹은 신성한 힘에 전염(傳染)된 어떤 물질이 등장한다. 신성한 힘에 접속되는 계기를 통해 재생이라는 사건이 실현(實現)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신화적 주13, 혹은 신화적 서사(敍事)의 구조가 중요한 구실을 하기도 한다. 「재생설화」에서 신화적 서사나 신화적 상징의 흔적을 종종 발견할 수 있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의의 및 평가

「재생설화」에서 ‘재생(再生)’은 불교적(佛敎的) 윤회(輪迴) 관념(觀念)이나, 죽었다가 다른 존재(存在)로 다른 삶을 살게 되는 주16과는 다르다. 또한 죽었던 생명이 이어져 되살아나는 형태의 재생과도 다르다. 이런 종류의 재생이나 윤회 및 환생의 이야기는 모두 「재생설화」와 일정한 연관이 있긴 하지만, 이들 부류(部類)의 이야기를 「재생설화」의 하위 유형으로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재생의 관념은 주58의 차원에서 거듭난다는 의미에 가깝다. 입문(入門) 의례(儀禮)인 입사식(入社式, 주20에서 가장 중요한 상징적 의미는 ‘거듭남’이다. 이것은 이전의 존재로서는 죽고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질적(質的)인 단절면(斷切面)인데, 대부분의 입사식에서 ‘죽음’을 모방하는 수면(睡眠), 환각(幻覺), 동굴, 땅속 등의 모티프를 빌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같은 맥락(脈絡)에서 이곳에서 저곳으로의 이행(履行)을 의미하는 복도, 문지방(門地枋), 문턱 등이 의례적 주31을 지니며, 이행의 시간성을 상징하는 건기(乾期)와 우기(雨期) 사이, 낮과 밤 사이, 밤과 아침 사이, 오늘과 내일 사이라는 시간이 의례가 거행(擧行)되는 주요 시간이 된다.

질적인 탈바꿈을 하는 주35 동물들이 신화(神話)나 의례의 주요 상징물(象徵物)이 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번데기를 거쳐 다른 존재로 거듭나는 곤충류나 올챙이에서 성체로 거듭나는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의 동물들이 모두 이와 같은 예에 해당한다. 이때 변화를 반복하면서도 재생을 거듭하는 ‘달’이 중요한 상징성을 지닌다. ‘해’는 영원불멸(永遠不滅)한 생명성(生命性)과 불변(不變)하는 중심 가치와 권위(權威)를 대변(代辯)하지만 변화하면서 재생하는 ‘달’과는 조금 다른 의미의 상징성을 드러낸다.

재생이 지니는 이와 같은 상징적 의미 때문에 「재생설화」를 넓은 의미에서 「변신설화」의 한 변형(變形)으로 이해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변신설화」가 주로 형태의 변형을 위주로 하면서 상황의 전환(轉換)을 꾀한다면, 「재생설화」는 죽음과 탄생이라는 계기를 통하여 상황의 전환을 꾀한다.

그런데 죽음과 탄생의 주기적(週期的) 순환(循環)은 원시적 사유(思惟)와 심성(心性)에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고대인(古代人)들은 자연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통해, 가을을 지나 열매와 잎을 떨구고 뿌리만 남은 겨울의 시간이 봄의 재생을 위한 준비의 시간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죽었던 나무가 땅속에 들어가 이듬해 봄에 다시 싹을 틔우는 장면을 바라보면서 생명의 순환과 재생을 믿게 된 것이다.

이때 모든 생명을 재탄생시키는 생명력(生命力)의 원천(源泉)으로서 ‘대지’의 힘이 재생을 매개(媒介)하는 주요한 신성력으로 나온다. 땅은 생명을 낳는 자궁이며 대지는 주53로서 자궁이 되는 것이다. 「재생설화」에 대지의 힘을 상징하는 용이나 검은 소와 같은 신성의 대상, 재생의 구심(球心)이 되는 우주의 중심을 상징하는 우물, 연못, 중심산 등의 이미지가 자주 등장하는 연유(緣由)가 여기에 있다. 이때 우물이나 연못 등은 모두 대지모 자궁의 신성한 힘에 결부(結付)된 ‘대지의 배꼽’이라는 상징성을 지닌다.

참고문헌

논문

김나영, 「설화 속에 나타난 죽음과 그 극복 양상 연구 - 재생 설화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10, 돈암어문학회, 1998)
이상일, 「변신설화(變身說話)의 유형분석과 원초사유」(『대동문화연구』 8, 대동문화연구원, 1972)
이상일, 「변신설화(變身說話)의 선행사유」(『성균관대학교논문집』 21, 성균관대학교, 1975)
주석
주1

눈에 띄는 부위, 혹은 몸의 중요한 부분이 제거되거나 파괴되어 나타나는 결함이나 손상. 우리말샘

주2

어떤 것이 아주 없어지거나 사라짐. 우리말샘

주3

자연계에 있는, 저절로 생긴 물체. 우리말샘

주4

어떤 이야기에서 사건의 결론이 드러나는 마지막 부분. 우리말샘

주5

반복하여 나타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낱말ㆍ문구ㆍ내용을 이르는 말. 설화에서 반복하여 등장하는 이별한 임이나 서양 동화의 요술 할머니 또는 미녀 따위를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말샘

주6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또는 그 틀에 속하는 것. 우리말샘

주7

뜻하는 바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법. 우리말샘

주8

함부로 가까이할 수 없을 만큼 고결하고 거룩한 성질. 우리말샘

주9

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변화하도록 만드는 결정적인 원인이나 기회. 우리말샘

주10

추상적이거나 드러나지 아니한 것을 구체적인 형상으로 드러내어 나타냄. 우리말샘

주11

다른 사람의 습관, 분위기, 기분 따위에 영향을 받아 물이 듦. 우리말샘

주12

꿈, 기대 따위를 실제로 이룸. 우리말샘

주13

인류나 민족의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면면이 이어져 내려오는 보편적인 상징. 시대를 초월한 반복성과 동일성을 지니고, 모든 인간에게 유사한 의미를 환기시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리말샘

주14

불교에 딸리거나 불교와 관련되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5

어떤 대상에 관한 인식이나 의식 내용. 우리말샘

주16

다시 살아남. 우리말샘

주17

죽게 되었다가 다시 살아남. 우리말샘

주18

무엇을 배우는 길에 처음 들어섬. 또는 그 길. 우리말샘

주19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 우리말샘

주20

개인의 사회적ㆍ종교적 지위의 변화에 따르는 의례 행사. 출생, 성장, 생식, 죽음 따위의 생물학적 단계와 결부되어 있거나 특별한 단체나 집단에의 가입 따위를 기념하는 의식으로 통과 의례의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21

사물의 속성, 가치, 유용성, 등급 따위의 총체와 관련된.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22

물체의 잘라 낸 면. 우리말샘

주23

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 우리말샘

주24

잠을 자는 일. 우리말샘

주25

감각 기관을 자극하는 외부 자극이 없는데도 마치 어떤 사물이 있는 것처럼 지각함. 또는 그런 지각. 환시(幻視), 환청(幻聽), 환후(幻嗅), 환미(幻味)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7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우리말샘

주28

실제로 행함. 우리말샘

주29

출입문 밑의, 두 문설주 사이에 마루보다 조금 높게 가로로 댄 나무. 우리말샘

주30

문짝의 밑이 닿는 문지방의 윗부분. 우리말샘

주31

추상적인 사물이나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성질. 우리말샘

주32

기후가 건조한 시기. 우리말샘

주33

일 년 중 비가 많이 오는 시기. 우리말샘

주34

의식이나 행사 따위를 치름. 우리말샘

주35

성체와는 형태, 생리, 생태가 전혀 다른 유생의 시기를 거치는 동물이 유생에서 성체로 변함. 또는 그런 과정. 우리말샘

주36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우리말샘

주37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물체. 우리말샘

주38

곤충강의 동물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9

양서강의 동물을 일상적으로 통틀어 이르는 말. 어류와 파충류의 중간으로, 땅 위 또는 물속에서 산다. 우리말샘

주40

영원히 없어지지 아니하고 계속됨. 우리말샘

주41

생물로서 살아 있는 성질. 우리말샘

주42

사물의 모양이나 성질이 변하지 아니함. 또는 변하게 하지 아니함. 우리말샘

주43

남을 지휘하거나 통솔하여 따르게 하는 힘. 우리말샘

주44

어떤 사실이나 의미를 대표적으로 나타냄. 우리말샘

주45

모양이나 형태가 달라지거나 달라지게 함. 또는 그 달라진 형태. 우리말샘

주46

다른 방향이나 상태로 바뀌거나 바꿈. 우리말샘

주47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진행하거나 나타나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48

주기적으로 자꾸 되풀이하여 돎. 또는 그런 과정. 우리말샘

주49

원시 상태인.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50

개념, 구성, 판단, 추리 따위를 행하는 인간의 이성 작용. 우리말샘

주51

타고난 마음씨. 우리말샘

주52

둘 사이에서 양편의 관계를 맺어 줌. 우리말샘

주53

땅이 가진 특성을 모성 원리에 빗대어 인격화한 신. 주로 생명의 근원, 생식 능력, 풍요 따위를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말샘

주54

함부로 가까이할 수 없을 만큼 고결하고 거룩함. 우리말샘

주55

중심이 되는 것. 우리말샘

주56

일의 까닭. 우리말샘

주57

일정한 사물이나 현상을 서로 연관시킴. 우리말샘

주58

기로소에 들어가던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