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

목차
관련 정보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단체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이칭
이칭
국립전남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51년 10월에 설립되어 1952년 6월에 개교하였다. 1951년 9월 당시 전라남도지사 박철수를 기성 회장으로 한 국립전남대학교 건립기성회가 결성되어, 이듬해에 기존의 도립광주의과대학 · 도립광주농과대학 · 도립목포상과대학 · 대성대학 등 4개 단과대학을 모체로 발족하였다. 초대총장에 최상채(崔相彩)가 취임하였으며, 의과대학 · 농과대학 · 상과대학 · 문리과대학 · 공과대학 등 5개 단과대학과 대학원으로 편성하였다. 1953년 3월 제1회 졸업생 48명을 배출하였다.

1954년에 법과대학을 신설하였으며, 1961년에는 광주사범대학을 교육대학으로 개편하여 병설하였다가 1963년 3월 광주교육대학으로 분리하고, 1969년 2월에 경영대학원을 신설하였다.

이듬해에 중등교원양성소를 부설하고 1971년에 사범대학을 신설하였으며, 1972년에는 의과대학부속간호학교를 간호전문학교로 개편하였다. 1975년에 교육대학원을 신설하고 사범대학부속중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이듬해에 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1979년에는 의과대학부속간호학교를 간호전문대학으로 개편하고, 공과대학을 화학공과대학으로 변경하였다. 1980년에 행정대학원을 신설하고 문리과대학을 인문사회과학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리하였으며, 1981년에 치과대학을 신설하고 화학공과대학을 공과대학으로, 상과대학을 경영대학으로 변경하였다. 1982년 3월에 약학대학과 예술대학을 신설하였다.

1986년에 의과대학부속간호전문대학을 폐지, 간호학과로 흡수하고 이듬해에 인문사회과학대학을 인문과학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개편하였다. 1988년에 수의과대학을 신설하고 1989년에 가정대학과 산업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93년 3월 전남대학교병원을 공사화하였으며, 1997년 2월에 정보통신연구소를 신설하였다.

1998년 5월 사회교육원 진도캠퍼스를 개원하였다. 같은 해 7월 과학영재교육센터를, 10월 자동화시스템설계기술교육센터를, 12월 정보통신교육센터 등을 설치하였다.

1999년 2월 자연과학대학부속해양연구소와 창업보육센터를 설치하고 5월 신화공소재기술인력양성센터를 설치하였다. 같은 해 6월 자연과학대학부속공룡연구소를 설치하고 자동차공학관을 준공하였으며, 8월 인터넷창업보육센터 · 광응용기술연구소 · 유럽지역학연구소 등을 설치하였다. 같은 해 9월 두뇌한국(BK) 21 지역대학육성분야 주관대학으로 선정되었고, 리눅스시스템보안연구센터를 설치하였으며, 12월 공동실험실습관을 준공하였다.

2000년 3월 농업개발대학원을, 8월 치과대학부속치과재료연구소를, 9월 농과대학부속환경 축산연구센터를, 10월 자원식물연구소 · 비브리오패혈증연구소 · 여성연구소 등을, 12월 원격교육연수원을 설치하였다.

2001년 3월 공과대학부속건축과학기술연구소와 공과대학부속생물산업기술연구소를 설치하였으며, 7월 산학협력관을 준공하였고, 9월 공과대학태양에너지연구소와 철학연구교육센터 설립하였다. 같은 해 11월 정밀화학소재개발센터 설치하였고 생활관 7호관을 준공하였으며, 12월 농업특성화센터 건물 준공과 전남대학교 캐릭터 "용비, 봉비"를 선정하였으며, 용봉문화관을 준공하였다.

2002년 1월 의과대학부속노화연구소를 설치하였고, 3월 전남대학교 교목으로 "느티나무"를 선정하였으며, 7월 광소재 부품연구센터 설립과 나노기술연구센터를 설치하였다. 같은 해 9월 유전자 제어과학 연구센터를 설립하였고, 사범대학부속과학교육연구소 산하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전남대학교과학영재교육원으로 승격하였다. 같은 해 10월 대학원 석사과정에 나노과학기술협동과정, 도시공학협동과정, 문화재학협동과정, 보건학협동과정, 실내디자인협동과정, 농업생명과학학연협동과정을 신설하고 박사과정에 도시공학협동과정, 영어교육학협동과정, 농업생명과학학연협동과정을 신설하였다. 같은 해 11월 치과대학2호관을 준공하였다.

2003년 2월 평생교육원 완도캠퍼스를 개원하였고, 5월 리눅스그리드교육센터를 개소하였으며, 8월 다산 바이오밸리 기반구축 사업단을 설립하였다. 같은 해 9월 생활과학연수원 준공하였고, 10월 교육대학원 사서 교육전공 및 중국어교육전공을 신설하였으며, 10월 2003년도 발전계획 추진실적 평가 최우수대학 으로 선정되었고, 2003년 11월 대학원 석사과정 향장품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인류학과, 사회 교육학과, 과학교육학과, 분자의과학 협동과정을 신설하였다.

2004년 9월 인문대 1호관이 2004년 등록문화재(현, 등록유산)로 지정되었다.

2005년 3월 의과대학 간호학과를 간호대학으로 승격하여 신설하였고, 치의학전문대학원을 신설하였으며, 4월 법과대학고시원을 준공하였고,(건축면적/연면적 : 370.32㎡/1,470.47㎡) 5월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을 신설하였고, 전남대학교 5·18 기념관을 개관하였다.

2006년 3월 여수대학교를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로 통합하였고, 2007년 3월 경영전문대학원을 신설하였다.

2008년 11월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을 개원하였고, 2009년 3월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다.

현황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 경영대학원 · 교육대학원 · 행정대학원 · 산업대학원 등 5개 대학원에 3,100여 명이 재학하고 있으며, 5,100여 명의 석 · 박사를 배출하였다.

부속기관으로는 도서관 · 박물관 · 전자계산소 · 보건진료소 · 학생기숙사 · 공과대학부속공장 · 농과대학부속농장 · 농과대학부속연습림 · 수의과대학부속동물병원 · 농과대학부속동물사육장 · 사범대학부속중학교 · 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사범대학부설중등교원연수원 · 의과대학부속병원 등이 있다.

1953년에 설립된 도서관에는 70만여 권의 장서가 있으며, 박물관은 1957년에 설립되어 600여 점의 소장품을 소장하고 있다.

부설연구소는 호남문화연구소 · 공업기술연구소 · 촉매연구소 · 치의학연구소 · 인문과학연구소 등이 있다. 호남문화연구소는 호남지방의 향토문화를 연구함으로써 민족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63년에 설립되었으며, 유적조사, 발굴사업, 종합연구 등을 통하여 호남의 전통문화 연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창학 이념은 전문 학술에 관한 심오한 이론과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는 동시에 인격을 도야하며 인류와 국가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유능한 지도적 인재양성에 두고 있다. 교훈은 ‘진리 · 창조 · 봉사’이다.

학교의 특색으로는 호남문화의 중심지이며 예향(藝鄕)의 도시로 알려진 광주의 문화를 학문적으로 육성, 발전시키기 위해 예술대학을 설립, 연구 · 창작활동을 통하여 민속음악인 남도창(南道唱) · 창극(唱劇) 및 판소리의 보호와 발굴 · 육성을 촉진하고, 남도예술의 정수인 남화(南畵)의 발전을 위한 학문적 뒷받침에 주력하고 있다.

매년 9월에 대학축제인 ‘용봉대동제’를 개최하여 학술제 · 예술제 · 체육대회 · 전시회 · 등산대회 등을 실시하며, 학년 초인 4월에는 신입생 환영을 위한 새 가족잔치로 각 대학별 축제가 전개된다.

100여 개의 서클을 중심으로 활발한 학생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의과대학 · 치과대학 · 약학대학의 의료봉사를 비롯한 각종 교육봉사 · 계몽봉사가 대학별 및 서클별로 이루어지고 있다. 체육부에 육상 · 농구 · 탁구 · 테니스 등이 우수한 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1954년 6월에 창간된 신문사에서는 『전대신문(全大新聞)』을 주간으로 간행하고 있으며, 영자신문 『The Chonnam Tribune』은 1983년 5월에 창간되어 월간으로 간행하고 있다.

현재 대만의 국립성공대학, 미국의 미주리대학 ·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 브룩(Stoney Brook), 일본의 오사카시립대학(大阪市立大學) 의학부 · 사가대학(佐賀大學), 호주의 머독대학교수의학대학 등 20여 개 대학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참고문헌

전남대학교(www.jnu.ac.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