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전봉준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정읍 전봉준 유적
정읍 전봉준 유적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에 있는 개항기 동학농민운동 지도자 전봉준 관련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정읍 전봉준 유적(井邑 全琫準 遺蹟)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생활유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81년 11월 28일 지정)
소재지
전북 정읍시 이평면 조소1길 20 (장내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에 있는 개항기 동학농민운동 지도자 전봉준 관련 주택.
내용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 전봉준(全琫準)의 옛 집으로, 장내리 조소(鳥巢)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1974년에 해체하여 수리할 때, 상량문에 ‘무인 2월 26일(戊寅二月二十六日)’이라는 글자가 발견되어, 1878년(고종 15)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형적인 초가 3칸의 돌담집으로 남쪽을 향해 터를 잡았다. 동쪽부터 부엌 · 큰방 · 윗방 · 끝방 순서로 배치되어 있지만, 원래 방 1칸, 광 1칸, 부엌 1칸인 것을 1974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보수하였으며, 서쪽의 끝방은 살림살이 등을 넣어 두는 곳간으로 바꾸어 만들었다. 천장은 모두 연등천장이다. 큰방과 윗방은 앞에 툇마루를 놓았는데 장지문으로 통하며, 부엌에는 앞뒤로 두 짝의 널문을 달았다.

끝방의 앞쪽에는 반쯤 짧은 담을 두르고 땔나무를 두었지만, 후대에 덧붙여 지은 듯하다. 대문의 동쪽에는 잿간을 겸한 변소가 있으며, 집 둘레에는 돌 사이에 회를 넣어 굳히고 담 위에 짚으로 엮은 이엉을 덮은 돌담을 쌓았다.

참고문헌

『녹두 전봉준 평전』(김삼웅, 시대의 창, 2007)
『동학기행』(문순태, 어문각, 1986)
『문화유적총람』하(문화재관리국, 1984)
「동학농민혁명의 전개」(김창수,『동학의 현대적 이해』, 한국동학학회, 200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