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51년(철종 2)에 편찬된 『정주읍지』가 장서각도서에, 편년 미상의 『정원지』가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895년에 편찬되어 일제강점기 때 편사된 『정주목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구성은 강역(疆域)·사경(四境)·연혁(沿革)·관원(官員)·성지(城池)·관안(官案)·방리(坊里)·읍명(邑名)·산천(山川)·풍토(風土)·형승(形勝)·방천(防川)·누정(樓亭)·제영(題詠)·묘사(廟祠)·공서(公署)·창고(倉庫)·학교(學校)·첨설(添設)·고적(古蹟)·과공(科貢)·사찰(寺刹)·교량(橋梁)·제언(堤堰)·역원(驛院)·봉수(烽燧)·능로(陵路)·토산(土産)·고적(古蹟)·유일(遺逸)·관적(官蹟)·효열(孝烈)·전안(田案)·병안(兵案)·이안(吏案)·본부군관질(本府軍官秩)·군정(軍政) 등으로 되어 있다.
학교조에는 각 건물의 규모와 교원학규도설(校院學規圖說)이 실려 있다. 병안조에는 호구(戶口)가 남녀·장정(壯丁)·노약(老弱)으로 구분되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