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우부승지, 지밀직사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88년(충렬왕 14)
본관
횡성(橫城)
주요 관직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관련 사건
삼별초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우부승지, 지밀직사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횡성(橫城). 문하시중 조충(趙冲)의 손자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조계순(趙季珣)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할아버지와 아버지, 그리고 장인인 김방경(金方慶)의 세력에 힘입어 원종 때 낭장겸감찰사(郎將兼監察使)에 임명되었다.

일찍이 행수(行首)로서 입직(入直)할 때 밤이 늦어 대궐문이 닫혀 못 들어가자 원종이 문틈으로 들어오라고 명하였으나 이는 도리가 아니라고 거절하여 그 곧음이 당시 사람들에게 알려져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궐직문제(闕直問題)로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1271년(원종 12) 김방경이 진도의 삼별초를 토벌할 때 장군으로 기용되고, 1274년 여원연합군이 일본을 정벌할 때 김방경을 따라 출전하여 공을 세웠다.

1280년(충렬왕 6) 대장군으로 천호(千戶)가 되었고 제2차 일본정벌 때 원제(元帝)로부터 소신교위관군총파(昭信校尉管軍摠把)에 임명되고, 1284년 대장군으로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와 우부승지를 거쳐 1287년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이르렀다.

그 뒤 병으로 면직이 되자 왕은 조변의 사위 유서(庾瑞)를 낭장으로 임명하여 위로하기도 하였다. 용모가 빼어나고 전고(典故)에 정통하였으며, 성품이 관후하여 원망하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1288년 지밀직사사로서 죽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