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인선집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인선집
조선시인선집
현대문학
문헌
조태연이 당대의 대표시인 28명의 시작품 138편을 수록하여 간행한 시선집. 사화집.
정의
조태연이 당대의 대표시인 28명의 시작품 138편을 수록하여 간행한 시선집. 사화집.
개설

B6판. 1926년 10월 조선통신중학관(朝鮮通信中學館)에서 간행되었다. 조태연의 서문과 함께 대표시인 28명의 시작품 138편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

각 유파를 초월하여 당시의 시인을 총망라한 성격을 띠고 있는데, 김기진(金基鎭)·김정식(金廷湜)·김동환(金東煥)·김억(金億)·김탄실(金彈實)·김형원(金炯元)·남궁 벽(南宮璧)·조명희(趙明熙)·양주동(梁柱東)·노자영(盧子泳)·유춘섭(柳春燮)·이광수(李光洙)·이상화(李相和)·이은상(李殷相)·이일(李一)·이장희(李章熙)·박영희(朴英熙)·박종화(朴鍾和)·박팔양(朴八陽)·백기만(白基萬)·변영로(卞榮魯)·손진태(孫晉泰)·오상순(吳相淳)·오천석(吳天錫)·조운(曺雲)·주요한(朱耀翰)·홍사용(洪思容)·황석우(黃錫禹) 등과 같이 ‘가나다’순으로 편성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들 중 일부는 후에 시작활동과는 무관한 전공으로 전환한 사람도 있다. “조선의 빛을 아로새기고 조선의 마음을 노래하며, 조선의 정신을 하늘 높이 읊조리는 시단의 정화총집(精華總集)”이라고 편자도 말하고 있듯이, 그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작품으로 엮은 이 선집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화집으로 1920년대 전반을 결산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