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역사연구 ()

근대사
문헌
1946년 문석준이 한국사를 역사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저술한 학술서. 북한문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46년 문석준이 한국사를 역사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저술한 학술서. 북한문헌.
개설

1책 253쪽. 1946년 8월 함경남도 인민위원회에서 출간하였다. 주요 목차는 제2편 원시공산사회, 제3편 고대노예제 사회(삼국시대, 원고 누락), 제4편 봉건사회의 성립과 발전(고려시대), 제5편 이조봉건사회 - 봉건사회의 성숙 및 쇠퇴시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과 제3편은 원고가 없어서 싣지 못했다고 한다.

내용

1933년경에 그가 쓴 『조선역사』가 역사이론적인 책이어서 다소 어려웠기 때문에 이를 좀 더 쉽게 풀어쓰고 내용도 보충하기 위해 쓴 책으로 보인다. 역시 유물사관에 입각해 쓰여진 책이다. 시대구분이나 사회경제사 서술 부분은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조선봉건사회경제사』의 그것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신라의 토지 제도를 노예소유자적 토지국유제라고 본 것이나, 고려의 토지 제도를 관료적, 집권적 토지국유제라고 본 것 등은 백남운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 이후의 부분은 백남운의 책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독창적인 서술이 될 수밖에 없었다. 여기서 그는 조선왕조 성립의 의의를 관료봉건적 토지국유제의 부활에서 찾았다.

이 책은 특히 조선시대 부분의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사화와 당쟁 등 정치사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면서 이러한 권력투쟁이 발생하게 된 것은 결코 민족성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집권적 봉건제의 특수성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또 신분제 부분에서는 신분은 계급의 법제적 현상형태라고 설명해 유물사관의 입장에서의 설명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또 조선시대의 관제 부분에 상당한 비중을 두어 서술하였다. 그는 관제란 국가기관에 의한 권력의 집행조직으로서 본질적으로는 전 생산기구의 역사적 사회적 특수성에 대응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어 고려와 조선시대의 관제는 아시아적 봉건국가의 권력장치로서 농노제적 토지경제에 대한 중앙집권적 지배관계를 기축으로 한 법적 조직이라고 그 성격을 규정하였다. 홍경래란 이후의 부분은 원고가 멸실되어 이 책에 실리지 못하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해방 이후 남북한에서 출간된, 최초의 유물사관에 입각한 한국사 개설서로서 사학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