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유교연원 ()

목차
유교
문헌
1922년 장지연이 신라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선유들의 문집 · 어록 · 경설에 관한 내용 등을 모아 엮은 유학서.
목차
정의
1922년 장지연이 신라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선유들의 문집 · 어록 · 경설에 관한 내용 등을 모아 엮은 유학서.
내용

3권 1책. 연활자본. 1922년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아들 재식(在軾)의 발이 있다.

권1에서는 유교의 본질을 서술한 다음 삼국 시대부터 전래된 사실을 논한 뒤 설총(薛聰)으로부터 학문과 가계를 서술하고, 고려에 이르러 11공도(公徒) 이하 개인별로 학문을 소개하였다. 대개 학통이 계속된 바는 없으나,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김숙자(金叔滋)로 이어지는 간략한 학통을 선유들의 평론을 첨부해 밝혔다.

그러나 이황(李滉) 및 이이(李珥)에 이르러서는 개인별과 문도별로 서술하였다. 이황에 있어서는 <기고봉비사단칠정분이기변(奇高峰非四端七情分理氣辨)> 등 전문을 수록해 이들의 사단이기설의 연구에 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성혼(成渾)과 이이 사이에 주고받은 <성우계사칠이기문서략(成牛溪四七理氣問書略)>이 수록되어 역시 기호학파의 사칠이기 학문 연구에 도움이 된다.

또, <이율곡답성우계사칠이기변(李栗谷答成牛溪四七理氣辨)> 역시 성혼에 답한 것으로 원문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율곡성학집요심성정설(栗谷聖學輯要心性情說)>의 전문과 이익(李瀷)의 <이성호사칠이기설(李星湖四七理氣說)>을 소개하면서 아울러 저자의 의견을 첨부하였다. 곧, 이기설이 전반적으로 당색의 폐습을 띠어 달리(達理)한 사람이 볼 때는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는 평을 하였다.

권2에는 <왕양명전습록변(王陽明傳習錄辨)> 상·하가 있는데, 이황이 변론한 전문이 수록되어 있다. 그 밖에는 각 학파별로 수록하였다.

<호락학파분열(湖洛學派分裂)>에는 이간(李柬)과 한원진(韓元震)에 대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수록하였다. 양 론이 각각 자파의 의견을 주장, 변론한 것이다. 이 책은 호락시비(湖洛是非)의 원류와 인물성동이론의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 <성호소저홍범설여좌(星湖所著洪範說如左)>에 있어서는 이익의 홍범설을 전문 소개하고, <후천조하도설(後天祖河圖說)>을 함께 수록하였다.

권3은 관서(關西)의 유학을 소개하며 선우협(鮮于浹)을 첫머리에 기록하고 이어 각 학자들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총론을 상·중·하로 구분, 上(상)에는 유교의 전래와 신라 시대의 유학을 총평하였다. 고려조에서는 최충(崔冲)에 이르러 유교가 흥한 사실과 학통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정몽주가 성리의 학을 수창(首倡)해 조선조의 조광조(趙光祖) 및 김정(金淨)·김식(金軾)에 이르는 연원을 서술하고, 을사사화로 위기에 봉착한 데까지 기록하였다.

총론 中(중)에는 이황을 비롯한 문도들에게 전수한 인명, 연혁을 설명한 다음 이이의 학통과 문도들의 연혁 및 강문팔학(江門八學)까지 논술하고, 호락변으로 분파된 내용까지 기술하였다. 총론 下(하)에는 근세 유학의 분파 및 학자들의 소개와 학설을 첨부하였으며, 동서 분당에 대한 결론을 맺었다.

<유교자변(儒敎者辨)>은 유교의 어원을 각 경전에서 뽑아 대의를 밝히고 역대의 흥망은 유교의 성쇠에 있음을 설명하고, 우리 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유학자들의 각성을 촉구한다는 내용이다.

<유교조공자(儒敎祖孔子)>는 복희(伏羲)로부터 문무주공(文武周公)까지의 도통의 연원을 기술하고, 공자는 이들을 집대성한 분이므로 인류가 존재한 뒤로 공자만한 이가 없음을 지적하였다. 공자의 생애와 역사적으로 세계 각국에서 숭상한 내용을 약술하였다. 한국 유학사 및 사상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