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기호사림파연구 ( )

목차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이병휴가 조선전기 기호사림파에 관해 저술한 연구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이병휴가 조선전기 기호사림파에 관해 저술한 연구서.
내용

저자의 학위논문인 <조선전기 기호사림파의 성립과 발전>(1981)에 <조선 중종조 정국공신(靖國功臣)의 성분(性分)과 동향>(1978) 및 <현량과(賢良科) 연구>(1967)라는 두 편의 논문을 합본해 1984년 일조각(一潮閣)에서 발간한 것이다. 내용은 5장 10절의 본문과 두편의 논문이 첨부된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영남사림·기호사림의 접촉과 사림파의성립’, 제2장 ‘성종·연산군대 사림파의 성분과 동향’, 제3장 ‘중종초(1∼8년)의 지배세력과 사림파’, 제4장 ‘중종조(9∼14년)의 사림파의 구성과 그 성분’, 제5장은 ‘사림파의 개혁정치와 그 성격’으로서, 전체 10절로 나누어 구명하였다. 특히 중종조 조광조(趙光祖)를 중심으로 한 기호사림파의 집중적인 연구와 그것과 성종대 김종직(金宗直)을 비롯한 영남계 사림과의 접촉 관계 및 그들이 추구한 개혁 정치의 실체를 구명해보고자 노력하였다.

위의 장·절에서 제시한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해 저자는 조선 전기의 실록(實錄)은 물론 관계 인물의 문집·전기·보첩(譜牒)·지지(地誌) 등을 동원해 각 인물의 가계·근거지·벼슬 경력·학맥·인맥 등을 정치(精緻)하게 분석해 34개나 되는 각종 표를 작성, 제시하였다. 부록 Ⅰ의 <중종조 정국공신>과 부록 Ⅱ의 <현량과에 관한 연구>는 각기 본론의 제3장과 제5장을 보완하는 작업이다.

전자는 중종 초의 정치 현상과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신분 및 그들의 동향을 분석해 조광조일파가 등장하기 전의 중앙정치 구조의 일 단면을 천착한 것이다. 후자는 조광조일파의 개혁 정치의 하나로 실시된 바 있는 현량과의 실체를 구명한 것으로서 그 실시 배경은 훈구파의 성장을 견제함과 아울러 자기 당여를 단시일 내에 대거 진출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모색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이 책의 출간으로 다소 모호하였던 사림 또는 사림파의 개념 문제, 훈구파와 사림파의 구분의 기준 문제, 영남계·기호계 사림의 시기별 성장 과정, 성분과 구성 비율, 중종 15년간의 정조(政曹)·언관(言官)의 구성과 양자의 관계, 조광조일파가 추진한 개혁 정치의 실체와 한계 등이 밝혀짐으로써 조선 전기 정치사회사의 체계화에 기여하였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