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필사본. 붕당의 폐해를 경고한 이준경(李浚慶)의 유소(遺疏)를 비롯하여 동서분당의 원인, 문묘종사(文廟從祀)의 논란, 예송 문제(禮訟問題), 남인의 집권, 노론 · 소론의 대립과, 영조의 탕평책 등 당쟁과 관련된 상소문, 관련인의 소견 · 비문 · 계사(啓辭) · 비평 · 전지(傳旨) · 서간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 수록된 것은 다음과 같다. 고상이준경유소(故相李浚慶遺疏) · 노소재기이동고유사(盧蘇齋記李東皐遺事) · 윤고산기이동고사(尹孤山記李東皐事) · 유서애설암잡기(柳西厓雪巖雜記) · 남동소기분당사(南桐巢記分黨事) · 이율곡여성우계서(李栗谷與成牛溪書) · 심의겸파직전지(沈義謙罷職傳旨) · 대간송응개소(大諫宋應漑疏) · 경연관김우옹주대(經筵官金宇顒奏對) · 허미수학문편(許眉叟學問篇), 유서애기정릉사(柳西厓記靖陵事) · 남동소논성우계사(南桐巢論成牛溪事) · 이이성혼문묘출향계사(李珥成渾文廟黜享啓辭) · 이백사찬이율곡비문(李白沙撰李栗谷碑文) · 허미수기송대간유사(許眉叟記宋大諫遺事) · 조용주찬정이암비문(趙龍洲撰鄭頤庵碑文) · 송윤수록송익필사(宋玧手錄宋翼弼事) · 남동소기정철사(南桐巢記鄭澈事) · 남동소기기축사(南桐巢記己丑事) · 이정산기백사집(李貞山記白沙集) · 기축록개판사(己丑錄改板事) · 진사이상채등청김장생출향소(進士李相采等請金長生黜享疏).
권2에 수록된 것은 다음과 같다. 남동소기김석주사(南桐巢記金錫胄事) · 어제고판서유혁연치제문(御製故判書柳赫然致祭文) · 삭경신위훈교문(削庚申僞勳敎文) · 윤노서의답송우암서(尹魯西擬答宋尤庵書) · 윤명재의여송우암서(尹明齋擬與宋尤庵書) · 나명촌여생김창흡서(羅明村與甥金昌翕書) · 송우암찬김상류비문(宋尤庵撰金相𡏬碑文) · 김수홍여송우암서(金壽弘與宋尤庵書) · 전참의윤선도소(前參議尹善道疏) · 교리홍우원소(校理洪宇遠疏) · 유학박헌소(幼學朴瀗疏) · 송시열사사전지(宋時烈賜死傳旨) · 고묘문(告廟文) · 김수항사사전지(金壽恒賜死傳旨) · 남동소기기해상례사(南桐巢記己亥喪禮事) · 허시거비설(許是去非說) · 나양좌기박현석사(羅良佐記朴玄石事) · 남동소논노서변우계불부난(南桐巢論魯西辨牛溪不赴難) · 남동소기계갑록개찬사(南桐巢記癸甲錄改竄事) · 남동소기윤노서논예사(南桐巢記尹魯西論禮事) · 남동소기윤명재사(南桐巢記尹明齋事) · 남몽예논회니사(南夢(卩+藝)0xF833論懷尼事) · 남동소기기사사(南桐巢記己巳事).
권3에 수록된 것은 다음과 같다. 영상남구만차(領相南九萬箚) · 집의정시한소(執義丁時翰疏) · 남동소기김춘택사(南桐巢記金春澤事) · 영상남구만계(領相南九萬啓) · 유학임보소(幼學林溥疏) · 남동소갑술기사(南桐巢甲戌記事) · 영부사윤지완소(領府事尹趾完疏) · 부수찬홍만우소(副修撰洪萬遇疏) · 호군강세구소(護軍姜世龜疏) · 유학이잠소(幼學李潛疏) · 토역교문(討逆敎文) · 양사합계(兩司合啓) · 금국죄인백망문일초사(禁鞠罪人白望問日招辭) · 사헌부계(司憲府啓) · 사간조덕린10조소(司諫趙德隣十條疏) · 조오천명실변(趙五泉名實辨) · 전주부권부소(前主簿權扶疏).
그리고 권4에 유학이도현자응원소(幼學李道顯子應元疏) · 영남유생이우등소(嶺南儒生李堣等疏) · 영남이우등입시연교(嶺南李堣等入侍筵敎) · 영남유생박하원등소(嶺南儒生朴夏源等疏) · 우상박종악소(右相朴宗岳疏) · 영상채제공소(領相蔡濟恭疏) · 팔월팔일연교(八月八日筵敎) · 고상채제공뇌문(故相蔡濟恭誄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 외 부록으로 당쟁 문제를 논한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와 채제공의 연주(筵奏)가 발췌, 수록되어 있다. 또한 <하려선생의칠현변무소 下廬先生擬七賢辨誣疏>가 첨부되어 있는데, 남인 윤휴(尹鑴) · 이현일(李玄逸) · 권대운(權大運) 등을 두둔하고 있어 남인 중심으로 엮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