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약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에 있는 섬.
이칭
이칭
약산도(藥山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23.84㎢
둘레
45.0㎞
소재지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약도는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에 있는 섬이다. 조약도는 약산면을 이루는 주도(主島)이며, 약산도(藥山島)로 불리기도 한다. 인근의 고금도와는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금도를 거쳐 완도읍, 신지도를 비롯하여 강진군 마량면과도 육로로 연결된다. 섬의 중앙에 삼문산이 솟아 있으며, 연안의 간석지에는 양식업이 활발하다.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에 있는 섬.
개설

동경 126°57′, 북위 34°24′에 위치하며, 완도에서 동북쪽으로 15.2㎞ 떨어진 지점에 있다. 면적은 23.84㎢이고, 해안선 길이는 45.0㎞이다. 남서쪽에 신지도, 동쪽에 평일도, 서쪽에 고금도가 있다. 고금도와는 주1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금도는 다시 완도군 신지면(신지도)을 거쳐 완도읍으로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금도는 강진군 마량면에서도 주2로 연결되어 있어 결국 조약도는 고금도를 거쳐 완도읍과 강진군으로 각각 육로 이동이 가능하다. 조약도와 고금도 간에는 약산 연도교가 1999년 개통하였으며, 길이 306m, 너비 10m, 높이 23m이다. 이 다리는 완도군 내에 건설된 연도교 중 가장 먼저 완공된 것이다.

명칭 유래

완도군 약산면(藥山面)은 조약도를 비롯하여 북쪽 해안의 소죽도, 대죽도, 섬어두리섬 등 4개의 무인 도서로 이루어져 있다. 약산면의 지명 유래는 삼지구엽초 등 산약초가 많이 자생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옛날부터 이 섬의 산에는 약재가 많이 있어서 ‘어느 산이든지 약산(藥山)이다’라는 말이 있었기에 ‘약산’이란 말이 조약(助藥)과 뜻이 비슷하면서도 어감과 부르기가 좋아 많이 쓰이기 시작하였으므로 행정명을 약산면으로 개칭하였다. 이에 따라 섬의 명칭도 조약도와 함께 약산도가 자주 사용된다.

자연환경

섬의 중앙에 삼문산(三門山, 399m)이 솟아 있으며, 이곳에서 발원한 계류천들이 해안에 유입하면서 북서쪽과 북동쪽 일대에는 기복이 작은 평지를 이루고, 이 평지를 중심으로 득암리, 관산리, 장용리 등의 마을이 들어섰다. 해안선의 굴곡은 심한 편이다. 섬의 서남쪽에는 넓은 간척지가 조성되어 주로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동쪽에 공고지산(336m)이 있으며, 북쪽 해안에 포구가 발달하였다. 연안의 간석지에는 양식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1월 평균기온 1.9℃, 8월 평균기온 25.1℃, 연강수량 1,282㎜이다.

섬의 남동쪽 해안으로는 작은 규모의 만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만은 모래나 자갈이 쌓여 아름다운 해변을 이루고 있다. 이 중 해동리의 가사동백숲 해변은 모래사장의 해변과 남해안의 따뜻한 기후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와 후박나무로 이루어진 난대림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광을 만들고 있다. 득암리의 조약돌 해변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변인데, 인근에 어업 시설이 들어서며 자연성이 일부 훼손되고 보존 및 관리가 다소 미흡하여 찾는 이가 상대적으로 적다.

형성 및 변천

조약도는 백제의 새금현(塞琴縣)에, 통일신라시대에는 탐진현(眈津縣)에 소속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영암군의 탐진현에, 1124년에는 장흥부에 속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강진현 조약도로 480년간 속해 오다가 1896년 완도군이 만들어지면서 완도군 조약면(助藥面)이 되었다. 1914년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고금면(古今面)으로 통합되었으며, 1916년 전국 행정구역 개편 때 조약면이 고금면으로 통합된 이후 '고금면 조약도‘라고 불렸다. 1949년에 고금면에서 분리되면서 약산면(藥山面)에 속하게 되었고, 약산면의 주도가 되었다.

현황

2022년 기준으로 인구수는 2,377명(남 1,234명, 여 1,143명)이며, 세대수는 1,320세대이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2.72㎢, 밭 3.44㎢, 임야 16.33㎢이다. 주민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며, 주요 농산물로는 쌀 · 보리 · 콩 · 고구마 · 마늘 · 고추 · 무 · 배추 · 참깨 등이 생산된다. 삼지구엽초를 비롯한 약초를 먹고 자란 흑염소가 유명하다. 근해에서 멸치 · 농어 · 장어 · 낙지 · 문어 등이 어획되며, 김과 미역 양식업이 활발하다.

주요 항으로는 동쪽 해안의 당목항과 남쪽 해안의 득암항이 있다. 당목항에서는 주변의 금일도, 생일도, 신지도를 연결하는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약산초등학교와 약산중고등학교가 있다. 2023년 현재 약산중고등학교에는 각 학년당 1개 학급이 운영되고 있으며, 총학생수는 중학교 21명, 고등학교 42명이다. 약산면사무소를 비롯하여 교육 시설 등의 주요 사회 기반 시설들은 섬의 북동쪽에 위치한 장용리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한편 남쪽의 삼문산 산사면의 해안가의 득암리에서는 바다신을 숭상하는 마을 공동의 제향이 정월 대보름에 열린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정백서-도서현황 및 개발계획편-』 (전라남도, 1981)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완도통계연보』 (완도군, 2022)

인터넷 자료

완도군(www.wando.go.kr)
주석
주1

섬과 섬 사이를 잇는 다리. 우리말샘

주2

육지와 섬을 이어 주는 다리.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