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강이 내려다보이는 절경의 바위 면에 새겨진 마애불상군으로, 바로 이웃한 두 절벽에 새겨져 있다.
1군은 대마애불좌상이다. 큰 절벽의 전면에 걸쳐 고부조(高浮彫 : 모양이나 형상을 나타낸 살이 매우 두껍게 드러나게 한 부조)로 큰 마애불을 새긴 것이다. 결가부좌로 앉아 있는 이 마애불좌상은 무릎이 넓고 높아 특이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머리는 나발의 머리칼에 육계는 얕으며, 얼굴은 둥글지만 네모난 모습에 가깝다. 눈·코는 길고 가늘며 입은 큰 편인데 고졸한 미소를 띠고 있다.
상체는 사각형에 가까우면서 다소 평판적인데 군데군데 파손이 있다. 하체의 무릎은 높고 넓어 신체 전체가 삼각형 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머리 주위로 연꽃대좌에 묻힌 듯 앉아 있는 화불(化佛)들이 여러 구 새겨져 있는데, 연화생(蓮花生)하는 모습처럼 보인다. 이러한 수법은 영주 북지리 마애불상과 유사한 면이지만 이 불상이 좀 더 경직된 듯한 인상이다.
다른 1군은 약간 떨어진 곳의 낮은 절벽에 새겨졌으며, 상당수의 불상군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암면은 본존과 다른 상 사이에 깊은 결락(缺落)이 있어서 사이를 갈라놓고 있는 셈이다. 본존은 향좌(向左)의 상석 불좌상인데 오른쪽 무릎 일부를 제외하고는 무릎 전부가 탈락되었다.
전체 불상은 앞의 대마애불상과 비슷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육계의 형태, 평판적이고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 눈·코·입·귀 등이 길고 가는 것 등이 비슷하다. 상체 역시 사각형에 가깝고 평판적인 건장한 모습이며, 통견의 불의(佛衣)에 옷주름은 굵은 띠주름을 이루고 있다.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린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의 인상을 짓고 있는데 손은 비교적 사실적인 편이다. 왼다리는 세웠고, 오른다리는 꿇어앉아 무언가를 바치는 공양상이다. 상체나 무릎 등이 세장(細長)한 편이어서 편년 자료가 어느 정도 파악된 셈이다.
불좌상에 이어 반가사유상과 함께 보살 5구를 새기고 있다. 반가사유상은 상체와 팔 등이 너무 세장하며 하체는 굵고 듬직하다. 왼쪽〔向左〕 보살상 1구와 오른쪽에 4기의 입불상이 새겨져 있는데 세장한 체구와 단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중국의 수나라 이래 표현되던 불상 특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 가운데 당시 이 지역을 통치하던 신라 제작으로 추정되는데, 원래의 양식 특징은 북위의 영향을 받은 고구려 양식에 원류를 두었다고 생각되지만 북제·수 양식이 이 불상에 중점적으로 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출토된 납석제 불보살병존입상이나 금동불광배 등과 함께 이 지역 불상의 역사적 의의는 여러 모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