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보신구잡가 ()

고전시가
문헌
노익형이 일반에 유행하던 노랫말을 수록하여 1915년에 간행한 가집.
목차
정의
노익형이 일반에 유행하던 노랫말을 수록하여 1915년에 간행한 가집.
서지적 사항

B6판. 172면. 1915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되었다. 1910년대에 널리 불리던 노래의 가사를 수집하여 엮은 잡가집이다.

내용

판권에는 노익형이 저작자 겸 발행자로 되어 있으나 그가 직접 저작하였다기보다는 박문서관의 주인이던 그가 중심이 되어 당대 유흥의 장에서 불리던 노래의 가사를 수집하여 엮어 출판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들 노랫말이 독창적인 것이 아니고 다른 여러 잡가집에 같거나 비슷한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노랫말의 수록 순서는 평양에서 간행된 ≪신구잡가≫와 달리 시조시들의 노랫말을 먼저 내세웠다. 곧, 우조·계면·우평조·계평조·우롱·계롱·얼롱·얼락·편수엽·편대의 곡 순으로 게재하다가 <장진주>·<권주가>·<파연곡> 등을 싣고, 다시 시조의 변주곡이라 할 수 있는 평지름·사설지름의 시조시 관계 노랫말을 싣고 있다.

다음으로 십이가사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는 <상사곡>·<춘면곡>·<수양산가>·<죽지사>·<백구사> 등의 가사를 싣고, 그 뒤 십이잡가에 해당하는 <유산가>·<적벽가>·<선유가>·<십장가>·<소춘향가> 등의 노랫말을 싣고 있다. 그러나 십이가사나 십이잡가의 12편을 다 싣지는 않았다. 이어 <짝타령>·<앞산타령>·<흥타령> 등 여러 경기잡가의 노랫말을 실어 모두 74편을 싣고 있으므로 잡가집으로서는 내용이 비교적 풍부한 편이다.

여기에 실린 노랫말은 일부 노래의 제목에서 ‘단가라’·‘육자동고라’ 등의 표기와 같이 모두 당시의 표음 그대로 싣고 있으며 한자를 병기하지 않았다. 그리고 율조에 따른 분절의 표기도 이루어지지 않고 오로지 줄글로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편찬 형태는 이 책이 노래를 부르는 데 필요한 노랫말의 제공만을 목적으로 간행된 것임을 말해 준다. 시조를 앞세운 것은 여러 노래 가운데 시조에 더 큰비중을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십이가사나 십이잡가를 고루 다 싣지 않은 것은 유흥의 장에서 이러한 것들이 완전히 갖추어 불리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잡가집에서 <추풍감별곡> 같은 긴 노래를 싣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빠져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잡가집은 주로 서울 중심의 노래를 채집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시가의 연구』(조윤제, 을유문화사, 1954)
『국문학개설』(이병기, 일지사, 1961)
『서민가사연구』(김문기, 형설출판사, 1983)
『한국잡가전집』 4(정재호, 계명문화사, 1984)
「잡가고」(정재호, 『민족문화연구』 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