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산 가장리 벽화 고분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남도 대동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불꽃무늬 · 톱날무늬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남도 대동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불꽃무늬 · 톱날무늬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내용

분구는 방대형이고 묘실의 구조는 전실의 남벽 중앙에 달린 연도와 장방형의 전실, 전실과 현실 사이의 통로, 정방형의 현실로 이루어진 2실분(二室墳)이다.

연도는 남북 길이 1.80m, 너비 1.30m, 높이 1.86m이다. 전실의 남북 길이는 동벽 2.00m, 서벽 1.80m, 동서 너비 4.10m, 높이 3.31m이다. 전실과 현실 사이의 통로는 길이 1.11m, 너비 1.17m, 높이 1.75m이다. 현실의 남북 길이는 동벽 2.87m, 서벽 2.95m, 동서 너비 2.80m, 높이 3.31m이다.

전실의 천장가구는 네 벽의 높이 1m에서부터 궁륭형으로 좁혀가다가 장방형의 천장을 3등분해 3구(區)로 나누었다. 각 구는 1단의 평행굄과 2단의 3각굄을 하고 그 위에 뚜껑돌[蓋石]을 덮은 평행3각굄 천장이다. 현실의 천장은 수직의 네 벽 위에 2단의 평행굄과 2단의 3각굄을 하고, 그 위에 뚜껑돌을 덮은 평행3각굄 천장이다.

현실 바닥에는 2개의 관대가 동서로 나란히 놓여 있는데 화강암 판석을 대강 다듬어서 장방형으로 쌓아올린 구조이다. 묘실의 벽은 납작한 중돌로 쌓아올리고 표면에 고르게 회칠하였다.

벽화는 면회의 탈락과 널방 내부의 심한 습기로 대부분 없어져서 내용은 물론 그 전모를 알기 어렵게 되어 있다. 판별할 수 있는 벽화를 보면, 전실은 북벽의 평행굄에 주색과 흙빛으로 그린 톱날무늬[鋸齒文]가 보일 따름이고, 현실은 남벽과 서벽 사이에 담주색(淡朱色)으로 연봉(連峯)을 그렸으며 그 위에는 검은색으로 그린 톱날무늬가 있다. 천장3각굄의 동북쪽 모서리에도 검은색의 화염문(火炎文)이 보이고 서북쪽 모서리에도 붉은색의 화염문이 남아 있다.

또 현실의 서북부와 동부 벽면에는 흑갈색과 황갈색의 반리문(蟠螭文)이 그려져 있다. 황갈색 반리문 사이에는 붉은 점이 사이사이에 찍혔다. 남벽에는 두공을 그린 것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참고문헌

『고구려(高句麗)의 고고문물(考古文物)』(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평안남도 증산군 가장리 벽화고분 정리 간략보고」(채희국, 『문화유산』1959년 2호, 과학원출판사)
「解放後朝鮮考古學の發展」(李進熙, 『考古學雜誌』45-3, 日本考古學會, 1959)
집필자
김기웅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