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곡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지곡유집
지곡유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11년 후손이 간행하였다. 서문·발문은 없고, 권말에 묵서간기(墨書刊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25수, 권2에 서(書) 5편, 잡저 9편, 권3에 서(序) 2편, 기(記) 3편, 고사(告辭) 1편, 제문 16편, 애사 1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고종록(考終錄)·묘갈명·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애한가(哀恨歌)」·「백발음(白髮吟)」·「한중음(閒中吟)」 등은 저자의 경력(經歷)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정제산선생탐라배소(呈霽山先生耽羅配所)」는 스승 김성탁(金聖鐸)이 제주도 배소에 있을 때 올린 장편시로, 사제간의 정을 애절하게 묘사하였다.

서(書)는 대개 김성탁에게 올린 것인데, 학문에 관한 내용들이다. 잡저 가운데 주희(朱熹)의 「아호시(鵝湖詩)」에 대해 논한 「아호시설(鵝湖詩說)」, 윤광소(尹光紹)의 「사칠문(四七問)」을 변론한 「변윤지주광소사칠문(辨尹地主光紹四七問)」 등은 저자의 학문을 대변하는 글이다.

이 밖에 범증(范增)이 떠나지 않았다면 항우(項羽)가 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 소식(蘇軾)의 「범증론(范增論)」에 이의를 제기한 「증불거우불망론(增不去羽不亡論)」이 있다. 그리고 한(漢)나라 승상 병길(丙吉)이 사람이 싸워서 사상자가 나는 것은 보고도 묻지 않고 소가 헐떡거리는 것을 보고는 그 경위를 물었다는 고사에 대해 논한 「문우천불문인투론(問牛喘不問人鬪論)」이 있다.

이들 논설에서 저자의 사상과 가치관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부록은 모두 저자의 전기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