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곡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지곡유집
지곡유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11년 후손이 간행하였다. 서문·발문은 없고, 권말에 묵서간기(墨書刊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25수, 권2에 서(書) 5편, 잡저 9편, 권3에 서(序) 2편, 기(記) 3편, 고사(告辭) 1편, 제문 16편, 애사 1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고종록(考終錄)·묘갈명·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애한가(哀恨歌)」·「백발음(白髮吟)」·「한중음(閒中吟)」 등은 저자의 경력(經歷)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정제산선생탐라배소(呈霽山先生耽羅配所)」는 스승 김성탁(金聖鐸)이 제주도 배소에 있을 때 올린 장편시로, 사제간의 정을 애절하게 묘사하였다.

서(書)는 대개 김성탁에게 올린 것인데, 학문에 관한 내용들이다. 잡저 가운데 주희(朱熹)의 「아호시(鵝湖詩)」에 대해 논한 「아호시설(鵝湖詩說)」, 윤광소(尹光紹)의 「사칠문(四七問)」을 변론한 「변윤지주광소사칠문(辨尹地主光紹四七問)」 등은 저자의 학문을 대변하는 글이다.

이 밖에 범증(范增)이 떠나지 않았다면 항우(項羽)가 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 소식(蘇軾)의 「범증론(范增論)」에 이의를 제기한 「증불거우불망론(增不去羽不亡論)」이 있다. 그리고 한(漢)나라 승상 병길(丙吉)이 사람이 싸워서 사상자가 나는 것은 보고도 묻지 않고 소가 헐떡거리는 것을 보고는 그 경위를 물었다는 고사에 대해 논한 「문우천불문인투론(問牛喘不問人鬪論)」이 있다.

이들 논설에서 저자의 사상과 가치관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부록은 모두 저자의 전기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