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운전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진성운전」은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진성운의 영웅적 일대기를 중심으로, 진성운뿐만 아니라 그와 교류한 남순경, 이학록, 양호원 등이 적대자와 싸우는 영웅적 형상을 그려낸다. 그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상황에서 결연을 맺는 진성운의 아버지 진공필과 임 소저와의 1대 결연담, 2대 진성운의 누이 진성희가 남장한 후 혼인을 정하는 과정, 그리고 차례대로 진행되는 개별 인물들 간의 결연 등 군담과 인물 간의 결연 과정을 다채롭게 그리고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본 사항

1권 1책. 주2. 주인공 진성운의 영웅적 일대기와 함께, 주인공이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 친분을 맺는 3명의 친구와 함께 국난(國難)을 극복하는 과정과 주5을 맺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필사본 7종과 활자본(活字本) 2종이 존재한다. 내용상 차이는 없다. 활자본은 필사본의 표제와 달리 표제가 「진장군전」으로 되어 있고, 1920년 영창서관(永昌書館)에서 발행한 『진장군전』이 있다. 한문 필사본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 있고, 국문 필사본으로는 장서각과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주1, 조동일(趙東一) 소장본이 있다.

「진성운전」은 각 이본(異本) 간에 전반적인 사건 내용은 같으나, 월촌본(月村本)의 경우 상 · 하권으로 나누어졌고 분량도 5~6장이 더 많다. 그리고 월촌본에는 다시 위기에 빠진 천자(天子)를 구출하던 이학록이 위기에 처하자 진성운이 나타나 이들을 구원하는 내용이 삭제되어 있다. 월촌본에서는 진성운이 천자에게 승전(勝戰)한 내용을 상소(上疏)한 후, 곧바로 가족을 만나기 위해 귀향하며 가족과 회포(懷抱)를 풀고 나서 천자를 알현(謁見)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필사본 낙은본(樂隱本)은 분량이 다른 이본과 비슷하다. 다만 주12에 필사자가 주42 영순면 융태리”라고 기록한 것을 토대로, 낙은본의 필사 연대가 활자본보다 후대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도본은 특이하게도 국한문 주13로 표기되어 있다.

내용

명나라 주15 때 명신(名臣) 진공필은 20세에 사신이 되어 유리국으로 가는 도중에, 우연히 곤경에 처한 임 진사의 딸 임 소저를 구해 준다. 이 일을 계기로 진공필은 자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임 소저의 외할아버지인 선관의 도움을 받아 목숨을 구한다. 그리고 임 소저 어머니의 부탁으로 진공필은 임 소저와 혼인하게 된다. 진공필이 임 소저와 집으로 돌아오니 먼저 부인이 자결(自決)하고 만다.

임 부인은 딸 진성희와 아들 진성운을 낳았는데, 남매가 모두 준수한 용모(容貌)와 탁월한 재주를 지녔다. 진성운이 13세가 되었을 때, 임 부인은 갑자기 병을 얻어 죽고 진공필은 주18 유경만의 모함을 받아 강남으로 주19을 간다. 이때 주22 주23 장선걸이 진 소저를 주24로 삼으려고 하자, 진 소저는 동생과 헤어져서 남 주25의 집에 피신하여 남 소저와 친구가 된다.

진성운은 아버지를 만나려고 강남으로 가다가 남 도독의 아들 남순경을 만나 친구가 된다. 또 진성운은 유경만의 참소로 억울하게 죽은 윤 주26의 아들 윤호원을 만나 그와 친구가 되고, 그의 큰누이인 윤형옥과 혼인하기로 약속한다. 진성운은 강남에 도착하여 진 상서를 만나지만, 병든 진 상서는 얼마 되지 않아 죽는다.

진성운은 남해의 주28에게서 수학(受學)한다. 공부를 마친 이후 진성운은 남학산 도사에게서 주30주31을 얻고, 공부하던 이학록을 만나 함께 중원으로 향한다. 남 도독의 부인은 진 소저를 며느리로 삼고자 혼약을 정해둔다. 이때 간신 유태위가 진 소저의 소문을 듣고 진 소저를 납치하려 하자, 진 소저는 남장하고 아버지가 유배를 간 곳을 찾아간다. 그러다 진 소저는 유경만 일당에게 붙잡히는데, 유경만은 남 도독을 모함하여 남 도독 부부를 자결하게 만든다. 진성운이 진성희를 구해 주32 암자에 맡긴다.

이때 연나라가 명나라를 침공했는데, 유경만은 연나라에 항복하여 합세하고 천자는 위태로운 상황에 부닥친다. 진성운, 이학록, 윤호원, 남순경 네 사람은 힘을 합쳐 적을 격파하고 천자를 구한다. 천자는 그들을 각각 초왕, 위왕, 조왕, 제왕에 봉한다. 진성운은 공주와 윤호원의 큰누이와 혼인하고, 남순경은 진 소저와 윤호원의 둘째 누이, 이학록은 남순경의 누이와 혼인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진성운을 비롯한 4명의 청년이 효행(孝行)과 충절(忠節)을 실현함으로써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면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고 천자를 보필한다는 전형적인 유교적 명분(名分)을 주제로 하고 있다. 주인공뿐만 아니라 주인공과 주36 관계를 맺은 인물들도 영웅적 형상을 보이는데, 공동의 주37를 공유하는 가운데 여러 영웅의 서사 주38를 보인다. 또한 1대 진공필 관련 결연담에서는 경제적 문제로 인해 강제로 혼인할 상황에 처한 여성을 구해줌으로써 주39하는 내용이, 2대에서는 개별 인물들 간의 결연 과정이 다채롭게 진행된다. 간혹 나타나는 불교적 색채는 이 작품의 주제를 위한 보조적 수단이다.

참고문헌

원전

「진성운전」(『나손본필사본고소설전집』 62, 보경문화사, 1991)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3)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제이앤씨, 2008)

논문

이기대, 「<진성운전>의 서사구조에 나타난 특징적 양상과 소설사적 의미」(『어문논집』 54, 중앙어문학회, 2013)
전용문, 「<진성운전>의 이본에 대하여」(『古小說硏究』 5, 한국고소설학회, 1998)
주석
주1

舊 김동욱 소장본.

주2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3

어느 한 사람의 일생에 관한 내용을 적은 기록. 우리말샘

주4

나라가 존립하기 어려울 정도로 위태로운 나라 전체의 어려움. 우리말샘

주5

아름다운 인연. 우리말샘

주6

서책의 겉에 쓰는 그 책의 이름. 우리말샘

주7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8

천제(天帝)의 아들, 즉 하늘의 뜻을 받아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군주 국가의 최고 통치자를 이르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임금 또는 왕(王)이라고 하였다. 우리말샘

주9

임금에게 글을 올리던 일. 또는 그 글. 주로 간관(諫官)이나 삼관(三館)의 관원이 임금에게 정사(政事)를 간하기 위하여 올렸다. 우리말샘

주10

마음속에 품은 생각이나 정(情). 우리말샘

주11

지체가 높고 귀한 사람을 찾아가 뵘. 우리말샘

주12

본문 끝에 덧붙여 기록함. 또는 그런 글. 우리말샘

주13

국문에 한자를 섞어 쓴 글체. 우리말샘

주14

이름난 훌륭한 신하. 우리말샘

주15

중국 명나라 제13대 황제(1563~1620). 임진왜란 때의 조선 출병 따위로 국력이 쇠하고, 가혹한 징세로 민심을 잃었다. 재위 기간은 1572~1620년이다. 우리말샘

주16

‘아가씨’를 한문 투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7

의분을 참지 못하거나 지조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음. 우리말샘

주18

육사신의 하나. 간사한 신하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9

고려ㆍ조선 시대에, 죄인을 먼 시골이나 섬으로 보내어 일정한 기간 동안 제한된 곳에서만 살게 하던 형벌. 초기에는 방축향리의 뜻으로 쓰다가 후세에 와서는 도배(徒配), 유배(流配), 정배(定配)의 뜻으로 쓰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20

신라 때에 둔, 집사성ㆍ병부(兵部)ㆍ창부(倉部)의 버금 벼슬. 경덕왕 6년(747)에 전대등을 고친 것으로, 위계는 아찬에서 나마(奈麻)까지이다. 우리말샘

주21

고려 시대에 둔 육부(六部)의 하나. 법률ㆍ소송ㆍ재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성종 14년(995)에 형관(刑官)을 고친 것으로, 충렬왕 원년(1275)에 전법사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2

고려 시대에 둔 육부(六部)의 하나. 법률ㆍ소송ㆍ재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성종 14년(995)에 형관(刑官)을 고친 것으로, 충렬왕 원년(1275)에 전법사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3

옛 중국의 벼슬 이름. 진나라와 한나라 때에는 낭중령(郎中令)의 속관(屬官)으로 궁문을 지키는 일을 맡아보았고, 당나라 때에는 중서성과 문하성의 실질적 장관이었으며, 그 이후에는 육부의 차관이었다. 우리말샘

주24

아내를 여의었거나 아내와 이혼한 사람이 다시 장가가서 아내를 맞이함. 우리말샘

주25

중국의 관직명. 주(州)의 자사(刺士)가 그 지역 군사령관을 겸임하였다. 위(魏)나라 문제(文帝) 때 군사권을 장악한 이후 당나라 때까지 군대의 실권을 장악하였고 당나라 중기 이후 절도사로 개칭하였다. 원나라와 명나라에서도 오군 도독부(五軍都督府) 등을 두었다. 우리말샘

주26

고려 시대에, 광정원(光政院)에 속한 종육품 벼슬. 우리말샘

주28

도를 갈고닦는 사람. 우리말샘

주29

학문을 배우거나 수업을 받음. 우리말샘

주30

용의 머리에 말의 몸을 하고 있다는 신령스러운 전설상의 짐승. 중국 복희씨 때 황허강(黃河江)에서 팔괘(八卦)를 등에 싣고 나왔다는 준마이다. 우리말샘

주31

신묘한 검. 우리말샘

주32

중국 산시성(陝西省) 시안시(西安市)의 동남쪽에 있는 산. 높이 약 1,200미터. ⇒규범 표기는 ‘중난산’이다. 우리말샘

주33

부모를 잘 섬기는 행실. 우리말샘

주34

충성스러운 절개. 우리말샘

주35

각각의 이름이나 신분에 따라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군신, 부자, 부부 등 구별된 사이에 서로가 지켜야 할 도덕상의 일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6

서로 사귀어 놀거나 왕래함. 우리말샘

주37

서사에서 증여자의 반대편에 있는 인물. 우리말샘

주38

시간의 흐름에 따른 행위의 연속과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사건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전개해 가는 방식. 우리말샘

주39

인연을 맺음. 또는 그런 관계. 우리말샘

주40

이름난 훌륭한 신하. 우리말샘

주41

혼인하기로 함. 또는 그 약속. 우리말샘

주42

경상북도의 서북부에 있던 군.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점촌시와 문경시로 통합하여 문경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