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만보정 78호분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적석묘.
이칭
이칭
만보정 1078호분, JWM 1078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적석묘.
개설

1972년집안현 문물보관소에 의해 노출유물이 수습되고, 1974년길림성박물관에 의해 전면 발굴 조사되었다. 제78호분은 적석묘로 산곡 간에 형성된 남북방향 충적대지의 서편 산자락에 자리잡고 있으며, 고분의 동쪽 100여m 전방으로 통구하가 흐른다.

내용

고분의 동북 6m 거리에 같은 형태의 방형 적석묘(方形積石墓) 1기가 있으며, 서남 8m 거리에는 봉토분(封土墳) 1기가 있어 78호분을 중심으로 3기의 고분이 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78호분의 서북과 동남에도 10m 이내의 거리에 방형 적석묘와 봉토분이 각 1기씩 있어 제78호분과 일렬을 이루고 있다. 이 같은 고분배치는 고구려인의 족장제적(族葬制的) 묘지조성 관습때문이다.

제78호분은 방형 적석묘로 묘의 한 변 길이가 17m이다. 기단부 네 변은 잘 다듬은 장방형 거석으로 마무리하고, 네 모서리에는 1.8m 높이의 거석을 세웠다. 묘의 상부가 무너져내려 고분이 본래 기단식이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묘의 내부는 지름 30∼40㎝ 크기의 자갈돌로 메워진 상태이다. 묘 중심부에 묘광(墓壙)이 설치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남향으로 났던 묘도(墓道)도 심하게 교란된 상태로 흔적을 남기고 있다.

묘도와 묘광의 연결부에서 60여 점의 금동제품과 다수의 황유도기(黃釉陶器) 조각이 수습되었다. 출토된 금동제품은 대부분 마구(馬具)인데, 그중에서 안교(鞍橋)가 4건(件)이며 등자(鐙子)는 2점인데, 목심에 안팎으로 도금한 동편을 박고 가느다란 동제못으로 고정하였으며 발을 딛는 부분은 5개의 도금동제못을 대고 있다. 걸이 부위는 길고 위쪽에 같은 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있다. 도금 및 장식수법이 매우 정교해 고구려의 금속공예 수준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마구』(이난영·김두철, 한국마사회, 1999)
『중국소재 고대유적조사보고서(中國所在 古代遺蹟調査報告書)-길림성 집안시편(吉林省 集安市篇)-』(문화재청, 1998)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내세관 표현을 중심으로』(전호태, 서울대학교박사학위론문, 1997)
『고구려(高句麗)의 고고문물(考古文物)』(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집안 고구려(集安 高句麗) 무덤 연구(硏究)」(이전복, 『중국경내 고구려유적연구(中國境內 高句麗遺蹟硏究)』, 예하출판사, 1995)
『중국내(中國內)의 고구려유적(高句麗遺蹟)』(이전복 저, 차용걸·김인경 역, 학연문화사(學硏文化社), 1994)
『조선유적유물도감』(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80)
「吉林集安的兩座高句麗墓」(吉林省博物館文物工作隊, 『考古』1977年 2期)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