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랑집 ()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인, 정암수의 시 · 사 · 소 · 세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인, 정암수의 시 · 사 · 소 · 세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활자본. 창랑(滄浪)은 정암수(丁巖壽 1534~1594)의 호이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응룡(應龍)이다,

내용

이 문집의 권두에는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권말에는 정희(鄭㵙)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세계(世系)·사(詞)·시·소(疏)·효행지(孝行誌)·묘갈명, 권2는 시와 손자 준(雋)의 문집인 『적송유집(赤松遺集)』이 수록되어 있다. 사의 「거안고면(據鞍顧眄)」·「노병유고주(老病有孤舟)」·「백구(白駒)」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거안고면」에서는 늙은 장수의 무웅(武雄)을 그렸으며, 「노병유고주」에서는 나그네 신세가 되어 떠나는 자신의 모습을 부평초(浮萍草)에, 「백구」에서는 어디에고 매이고 싶지 않아 하는 망아지의 모습에 비유하였다.

「창랑육영(滄浪六詠)」이라는 제목의 시는 각기 노을·안개·눈·달·낙조·가을풍경 등을 소재로 한 뛰어난 자연친화시라 할 수 있다.

소의 「기축소(己丑疏)」는 선조에게 올리는 상소형식의 글로서, 당시 정여립의 모반사건과 이산해(李山海)의 탄핵사건, 기축옥사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하생 관계를 살펴볼 수도 있는 글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