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주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창주문집
창주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박돈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박돈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06년 맏손자 재만(載萬)이 가장(家藏)의 고본을 보충,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해(權瑎)의 서문과 김도화(金道和)의 후서, 권말에 재만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71수, 권2는 부(賦) 3편, 소(疏) 2편, 계(啓) 2편, 전(箋) 1편, 장(狀) 1편, 서(書) 12편, 서(序) 3편, 명(銘) 1편, 상량문 1편, 권3은 책(策) 3편, 잡저 7편, 제문 5편, 묘갈명 1편, 권4는 부록으로 연보·가장(家狀)·행장·묘갈명·추보(追補)·묘지·만사·제문·빙청록서(氷淸錄序)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 「상란(傷亂)」·「회고(懷古)」·「연궐(戀闕)」·「유거(幽居)」·「자궐(煮蕨)」·「난리(亂離)」 등에는 작자의 사상 일면이 드러나 있다. 또 「대비전단오첩(大妃殿端午帖)」·「중전입춘첩(中殿立春帖)」·「대전정조영상첩(大殿正朝迎祥帖)」 등의 궁중시가 많은 것도 특기할 만하다. 부는 모두 은거구도(隱居求道)의 낙을 노래한 것으로 「욕기부(浴沂賦)」·「대악부(碓樂賦)」·「귀영부(歸詠賦)」 등이 있다.

장은 「진주진폐장(晋州陳弊狀)」으로, 저자가 진주판관으로 있을 때 진주의 고질적 폐단, 곧 둔전(屯田)의 운영, 시초(柴草)·단판(椴板)·녹각(鹿角)의 공납, 목장의 관리, 전선(戰船)의 부족에 따른 여러 문제들을 열거해 관찰사에게 시정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書) 가운데 「여신여섭(與申汝涉)」은 병자호란 때 의병 발진 및 군량 운반을 상의한 서찰이다. 책은 증광시 급제 때 지은 「전책(殿策)」 및 「문삼재삼광만물사해오악구독십이구(問三才三光萬物四海五嶽九瀆十二溝)」·「문사상견례(問士相見禮)」이다.

잡저는 「책제(策題)」·「당태종참노조상론(唐太宗斬盧祖尙論)」·「여몽정불문염외인성명론(呂蒙正不問簾外人姓名論)」·「한위공불분인선악론(韓魏公不分人善惡論)」·「안고경의녹산금자론(顔杲卿衣祿山金紫論)」·「맹자불벽노장변(孟子不闢老莊辨)」·「성인교인위학차서동이변(聖人敎人爲學次序同異辨)」으로, 모두 저자의 학문과 사상이 담겨 있는 글들이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