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령지 ()

목차
관련 정보
천령지
천령지
인문지리
문헌
조선 중기의 학자, 정수민이 경상도 함양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656년에 편찬한 사찬 읍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정수민이 경상도 함양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656년에 편찬한 사찬 읍지.
내용

2권 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989년 한국인문과학원에서 발행한 『조선시대사찬읍지(朝鮮時代私撰邑誌)』 제23권으로 영인되었다. 책머리에 정광연(鄭光淵)의 서문과 간행범례·지도·목록이 있고, 책 끝에 찬자의 발문과 간행을 주관한 정환주(鄭煥周)의 발문이 있다.

내용구성은 상권에 건치연혁(建置沿革)·읍호(邑號)·성씨(姓氏)·풍속(風俗)·형승(形勝)·산천(山川)·인물(人物)·열부(烈婦)·토산(土産)·사묘(祠廟)·향교(鄕校)·서원(書院)·정문(旌門)·사마재(司馬齋)·향사당(鄕射堂)·서당(書堂)·성곽(城郭)·누정(樓亭)·분묘(墳墓)·역원(驛院)·교량(橋梁)·사찰(寺刹)·고적(古蹟)·명환(名宦), 하권에 습유(拾遺 : 雜著)·제영(題詠)·시집(詩什)·잡저(雜著) 등으로 되어 있다.

하권의 습유조에는 창고(倉庫)·군기(軍器)·군액(軍額)·이명(里名)·전세(田稅)·상공(上供)·공물(貢物)·약재(藥材)·사청(射廳)·빙고(氷庫)·장시(場市) 등 재정·행정 관련내용들이 간략하게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읍지는 경상도를 중심으로 17세기 중엽에 활발하게 편찬되었던 초기 사찬읍지 중의 하나로서 의의를 지니며, 읍지의 기본성격인 행정자료로서의 종합적 성격보다는 역사·문화 관련내용이 주가 되어 있다.

특히, 편자는 정여창(鄭汝昌)의 후손으로 인물관련 기록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중기 이 지역의 인맥고찰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 함양군수로 재직하였던 김종직(金宗直)의 글을 비롯하여 많은 시문이 수집되어 있다.

참고문헌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영남읍지(嶺南邑誌)』
『영지요찬(嶺誌要選)』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