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배무가 ()

목차
구비문학
개념
굿이나 독경을 할 때 신의 내림을 청하는 무가.
목차
정의
굿이나 독경을 할 때 신의 내림을 청하는 무가.
내용

무가의 기능을 기준으로 분류된 명칭이다. 청배의 기능을 가진 무가는 세 가지로 그 형태는 다음과 같다.

① 서사무가 : 굿이 시작되면 주무(主巫)가 신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서사무가를 구연한다. 서사무가는 대체로 모두 청배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신이 하강하기 이전에 구연되는 것이 원칙이다.

② 신의 호명(呼名) : 신의 명칭에 다소의 수식어를 첨가하여 나열하는 형태인데 서사무가를 구연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시위들 하소사 만신의 설명도 대신가망 사위로삼당가망 궁외로제당가망 금성의대신가망 그연상산가망······.”

③ 신의 노정기(路程記) : 신이 오는 과정을 묘사하는 내용이다. 군웅신이나 손님신을 청배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형태가 흔히 나타난다.

청배는 굿의 진행에서 제일 먼저 행하여진다. 신이 내림한 뒤에 신에 대한 축원이 이어지고 신이 인간에게 하는 언어인 공수가 나타난다. 그러나 청배에서 청배무가가 반드시 구연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악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독경에서는 『청신경(請神經)』을 독송하는데, 『청신경』은 신격의 호명과 신이 오는 모습을 묘사하는 두 가지의 형태가 있다. 「신장편(神將篇)」도 청배무가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韓國民俗大觀)』 6 -구비전승(口碑傳承)·기타(其他)-(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한국무가(韓國巫歌)의 연구(硏究)』(서대석, 문학사상사, 1980)
집필자
서대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