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6.05㎝, 입지름 16.8㎝, 밑지름 4.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완은 경기도 개풍군에서 1159년(의종 13)에 죽은 문공유(文公裕)의 묘지(墓誌)와 함께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굽 부분은 좁고 아가리가 위로 벌어진 형태인데, 굽에서 아가리에 이르기까지 거의 직선에 가까운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다. 완의 안쪽 가운데 부분에 원을 그리고 그 안쪽에 큰 화문(花文)을 배치하였는데, 화문이 아닌 그 바탕을 백토로 상감하였다. 이른바 역상감(易象嵌)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아가리 부위를 뺀 그릇 안쪽 또한 역상감기법으로 당초문을 가득 장식했다. 아가리 부분에 이르면 그릇 안쪽으로 간격을 두어 두 줄의 흰색 선을 두르고, 그 안에 흰색의 초문대(草文帶)를 구사하였다.
완의 바깥쪽 역시 안쪽의 아가리 부분과 같은 문양을 장식하였다. 그리고 바깥쪽의 중심부에는 다섯 곳에 국화 한송이씩을 두고 있는데, 꽃은 흰색으로 잎은 검은색으로 상감하였다. 굽의 바로 위쪽에는 두 줄의 가로줄을 두르고, 그 아래에는 음각기법으로 복판(複瓣)의 앙련(仰蓮)을 그렸다.
전체적으로 그릇의 안쪽과 바깥쪽이 모두 아가리·중심부, 그리고 주문양(主文樣)이 시문되는 세 부분으로 수평의 구획이 이루어졌다. 비교적 잘 정선된 태토와 함께 유색도 우아하여 그릇 안쪽의 보상당초문이 단아한 비색으로 우러나와 역상감기법이 한층 효과적으로 돋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