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온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지추밀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70년(의종 24)
본관
직산(稷山)
주요 관직
지문하성사|참지정사|지추밀원사
관련 사건
무신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전기에,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지추밀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직산(稷山). 평장사(平章事) 최홍재(崔弘宰)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관의 가문으로 일찍 아버지로부터 활쏘기와 말달리기를 배웠다.

1124년(인종 2) 이자겸(李資謙)의 시기로 아버지가 승주(昇州) 욕지도(褥地島)로 귀양갈 때, 형 최상(崔翔)과 동생 최단(崔端) 및 장인 노영거(盧令琚)와 같이 먼 곳으로 귀양가게 되었다.

1156년 10월에 지합문사(知閤門事)로 의종의 부름을 받고 목청전(穆淸殿)에 들어가서 선구보(善救寶: 병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만든 의료기관)와 양성정(養性亭: 괴석과 아름다운 꽃을 모아놓은 정자)을 두루 구경하고 어원(御苑)의 화훼(花卉)를 감상하였으며 충허각(冲虛閣: 대궐 동북쪽에 세운 화려한 누각)에서 베푸는 잔치에도 참석하였다.

1167년 5월에는 의종과 같이 남강(南江)에 배를 띄워놓고 밤에는 보현원(寶賢院)으로 옮겨 즐기기도 하였다. 1170년 판중군병마사(判中軍兵馬事)에 이어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가 되고 다시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임명되었으며, 그 뒤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이르렀다가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피살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