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찬식 ()

추월색 / 최찬식
추월색 / 최찬식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추월색」, 「능라도」, 「춘몽」 등을 저술한 소설가.
이칭
이칭
찬옥, 해동초인, 동초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1년(고종 18)
사망 연도
1951년
본관
경주
출생지
경기도 광주
정의
일제강점기 「추월색」, 「능라도」, 「춘몽」 등을 저술한 소설가.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옥(贊玉), 호는 해동초인(海東樵人)·동초(東樵). 경기도 광주 출신. 아버지는 개화기 언론인인 영년(永年)이며,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릴 때에는 광주 사숙(私塾)에서 한학을 공부하여 사서삼경까지 마쳤고, 갑오경장 후 1897년 아버지가 광주에 설립한 시흥학교(時興學校)에 입학, 신학문을 공부하였다.

뒤에 서울로 올라와 관립한성중학교(官立漢城中學校)에서 수학하였다.

신학문을 공부하고 문학에 뜻을 두어 1907년에 중국 상해에서 발행한 소설전집 『설부총서(說部叢書)』를 번역한 뒤 우리 나라 현대소설의 토대가 된 신소설 창작에 착수하였다. 『자선부인회잡지』 편집인과, 『신문계(新文界)』·『반도시론(半島時論)』 등의 기자노릇을 하였다.

말년에는 뚝섬에 있는 그의 농장에서 최익현(崔益鉉)의 실기(實記)를 집필하였으나 끝내지 못하고 죽었다. 대표작으로 꼽히는 「추월색(秋月色)」(1912)을 비롯하여, 「안(雁)의 성(聲)」(1914)·「금강문(金剛門)」(1914)·「도화원(桃花園)」(1916)·「능라도(綾羅島)」(1919)·「춘몽(春夢)」(1924) 등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이들은 한결같이 이성간의 애정문제를 다룬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중심은 민족의식이나 자주독립 등의 정치적인 면보다 애정문제, 풍속적 윤리·도덕문제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도 신식결혼관이나 연애가 표면적으로만 등장할 뿐, 궁극적인 주제는 고대소설적인 윤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찬식의 소설은 당대 신소설의 한계 및 통속화 현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신문학과 시대의식』(김열규·신동욱, 새문사, 1981)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조동일,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73)
「최찬식 소설의 사회적 성격」(유양선, 『한국현대소설사연구』, 민음사, 1984)
「최찬식소설의 구조」(김용구, 『관악어문연구』8,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
「해동초인소고」(하동호, 『시문학』52, 1975.11.)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