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문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공예
개념
다복 · 다수 · 다남 등 도교적 이념에서 비롯된 삼다사상에 의한 길상무늬.
목차
정의
다복 · 다수 · 다남 등 도교적 이념에서 비롯된 삼다사상에 의한 길상무늬.
내용

‘길상여의(吉祥如意)’ · ‘자손길경(子孫吉慶)’ · ‘장명부귀(長命富貴)’ 등을 뜻한다.

여러 종류의 도안이 쓰이는데, 그 유형은 전보(錢寶) · 서각보(犀角寶) · 방승보(方勝寶) · 화보(畫寶) 및 서보(書寶) · 애엽보(艾葉寶) · 경보(鏡寶) · 특경보(特磬寶) 등이다. 이 문양은 불교에서 말하는 주1와 또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길리(吉利)를 추구하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여러 유형의 문양에서 어느 것이든지 일곱 가지를 뽑아 기물(器物)에 시문(施文)하는데, 그 형식은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와 일곱 가지를 배치하여 나타내는 두가지 유형이 있으며, 또한 어느 경우에는 연속무늬로 전개시켜 기물의 지문(地文)을 이루기도 한다.

그 하나하나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전보 : 원명이 원보(元寶)인데, 즉 보는 복(福)을 뜻하였다. 전보는 여러 길상문자(吉祥文字)와 결합되어 무늬를 이룬 ‘십전도(十全圖)’라든지 고리처럼 상 · 하 · 좌 · 우로 연속시켜 구성한 이른바 ‘연전(連錢)’을 이룬 문양이 나타난다.

② 서각보 : 서각은 무소뿔이다. 그 뿔은 결이 곱고, 누런 빛이나 검은 빛의 꽃무늬가 있어서 예로부터 술잔〔角杯〕 등을 만들어서 귀하게 써 왔다. 검은색은 오서각(烏犀角)이라 하여, 특히 귀하게 쓰였다. 이 역시 ‘다복’을 나타내는 상징적 도안이다.

③ 방승보 : 금전지(金箋紙)를 말한다. 즉, 좋은 일에 쓰는 보자기의 네 귀나 끈에 다는 금종이로 만든 장식품인데, 금종이를 세모나게 접어 한쪽에 명주실 등으로 술을 달았다. 그 형상은 마름모형[菱形]의 고리 두개가 겹쳐진 모양이다. 속칭 채승(彩勝)이라 한다.

④ 화보 및 서보 : 모양은 화첩과 책 모양을 도안화한 것이다. 서화는 예로부터 복록을 의미하였다. 즉, 타고난 복과 벼슬의 녹을 의미한다.

⑤ 애엽보 : 약쑥의 잎사귀로 예로부터 한약재로 쓰였다 하는데, 역시 귀하게 보아 그 모양을 도안화하여 장수(長壽) 등의 길리를 뜻하고 있다. 또한, 이 쑥은 고대에 발화(發火)에 쓰였다 하여 더욱 귀하게 여겼다.

⑥ 경보 : 물체의 형상을 비추어보는 기물인 거울은 원시시대부터 주술적인 의구(儀具)로 쓰여서 매우 귀하게 여겨 왔다. 역시 다복을 의미하였다.

⑦ 특경보 : 고대의 악기로 옥이나 돌로 만든 아악기의 한 가지이다. ∧형으로 생긴 것으로 그 소리를 귀하게 여긴 까닭에 그 형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칠보문은 고대 건축을 비롯하여 가구 · 의복 등의 의장무늬로 귀하게 쓰였다. 도자문양에서는 칠보문을 주2 또는 주3로 시문한 문방구 등이 보이며, 각종 민속미술에서 길상무늬로 흔히 나타난다.

참고문헌

『中國吉祥圖案』(野崎誠近, 古亭書屋, 1928)
주석
주1

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마노ㆍ거거ㆍ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ㆍ은ㆍ마노ㆍ유리ㆍ거거ㆍ진주ㆍ매괴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조각에서, 묘사할 대상의 윤곽만을 남겨 놓고 나머지 부분은 파서 구멍이 나도록 만들거나, 윤곽만을 파서 구멍이 나도록 만듦. 또는 그런 기법. 우리말샘

주3

중국에서 나는 푸른 물감의 하나. 복숭아꽃 빛깔과 섞어 나뭇잎과 풀을 그리는 데 많이 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