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
대두
식물
생물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내용 요약

콩은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이다. 대두라고도 부른다. 종실의 크기에 따라 왕콩, 중콩, 작은 것은 좀콩·쥐눈이콩·나물콩·기름콩·콩나물콩 등으로 부른다. 입자와 색깔에 따라 흰콩·누런콩·푸른콩·밤콩·검정콩·얼룩콩·우렁콩·선비제비콩·대알콩·아주까리콩 등으로 불린다. 감자밭·원두밭·논두렁 등에 주위작으로 많이 재배된다. 콩밥·콩자반·콩설기떡·콩엿 등을 만들어 먹는다. 두부·비지·된장·간장·콩나물·콩기름 등으로 가공하여 먹기도 한다. 콩기름은 각종 공업 원료로 이용되며 최근에 콩은 두유로 많이 소비된다.

정의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특징

학명은 Glycine max MERR. 이다. 일반적으로 콩 또는 대두라 부르지만 종실의 크기에 따라 큰 것은 왕콩, 중간 것은 중콩, 작은 것은 좀콩 · 쥐눈이콩 · 나물콩 · 기름콩 · 콩나물콩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콩의 입색(粒色)에 따라 흰콩 · 누런콩 · 푸른콩 · 밤콩 · 검정콩 · 얼룩콩 · 우렁콩 · 선비제비콩 · 대알콩 · 아주까리콩 등으로 불린다. 한자어로는 대두(大豆 · 大荳) · 숙(菽) · 융숙(戎菽) · 황두(黃豆) · 원두(元豆) · 두자(豆子) · 태(太) 등으로 쓴다.

콩은 발아할 때 발생한 한 개의 어린 뿌리가 자라서 곧은 뿌리인 원뿌리가 되며, 여기에서 많은 곁뿌리가 발생하고, 뿌리에는 많은 뿌리혹이 착생한다. 뿌리혹 속의 뿌리혹박테리아는 공중질소를 고정하고, 이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뿌리혹의 착생이 좋아야 콩의 생육이 좋고 수량이 증대된다.

콩의 줄기는 둥글고 목질화되어 굳으며 속이 차 있고, 신육습성(伸育習性)에 따라 주1주2으로 구별되고, 원줄기의 장단, 분지의 장단 · 수 · 각도 · 방향 등에 따라 주3주4으로 구별된다.

콩의 원줄기 첫째 마디에는 떡잎, 둘째 마디에는 초생단엽(初生單葉)이 마주나고, 셋째 마디부터는 정상복엽이 어긋난다. 콩의 잎은 주5을 한다.

줄기의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꽃송이가 착생하며, 한 개의 꽃에는 열 개의 수술과 한 개의 암술이 있다. 원줄기에서는 3∼5마디, 하위의 곁가지에서는 4, 5마디, 상위의 곁가지에서는 1, 2마디의 꽃부터 개화하고, 한 개의 꽃송이에서는 밑의 꽃부터 개화하며, 자가수분을 하지만 자연교잡도 이루어진다.

총화수(總花穗: 이삭 모양으로 피는 꽃)에 대한 정상협수(正常莢數: 정상적으로 맺힌 열매의 숫자)의 비율을 결협률(結莢率)이라 하는데, 콩의 결협률은 20∼45%에 불과하다. 결협률을 조장(助長)하려면 영양조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콩의 열매를 보면 꼬투리에 접착되었던 부분인 배꼽의 양쪽에 주6과 합점(合點: 밑씨와 그 밑씨를 부착시키는 자루인 胚柄과의 부착점)이 있고, 씨껍질에 싸여 있는 떡잎과 씨눈이 있으며, 떡잎이 열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씨젖[胚乳]은 거의 퇴화되어 무배유종자를 형성한다.

콩은 품종에 따라 열매의 크기, 입색, 배꼽색, 피분(被粉) 등이 다르다.

역사

콩은 『시경(詩經)』에 숙(菽)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 그런데 숙의 꼬투리가 나무로 만든 제기인 두(豆)와 비슷하여 숙은 두가 되어버렸다. 그러다가 팥처럼 알맹이가 작은 콩무리가 들어오게 되어 이것은 소두, 본디의 콩은 대두라 구분하여 부르게 되었다. 이것이 서기 전후의 일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식물의 야생종 · 중간종 · 재배종이 가장 많은 곳을 그 식물의 발상지로 삼는다. 이 조건에 맞는 콩의 원산지는 중국의 동북부, 곧 만주라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일부에서는 중국 남부를 콩의 원산지라 주장하기도 하나, 중국의 앙소 · 용산 문화유적에는 콩이 나타나지 않고, 『관자(管子)』에 제(齊)나라 환공(桓公)이 만주지방에서 콩을 가져와 중국에 보급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또 함경북도 회령군 오동의 청동기시대유적에서 콩이 출토된 점 등으로 미루어 콩의 원산지는 만주, 곧 옛 고구려 땅이라 할 수 있다. 일본에는 우리 나라를 거쳐 전파되었다고 하는데, 일본에서의 재배역사는 약 2,000년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에는 1690년경에 독일에 처음으로 전파되었고, 미국에는 1804년경에 처음으로 알려져 1900년경부터 널리 재배되었으며, 현재 세계 총생산량 중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1955년에 27만㏊에서 약 15만t을 생산하였으나 1989년에는 15만 7367㏊에서 25만 1552t을 생산하였다. 재배면적이 줄었는데도 생산량이 증가한 것은 그 동안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에서 우량품종을 육성하고 새로운 재배기술을 개발하여 단위당 수량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10a당 수량은 1955년 55㎏에서 1989년 160㎏으로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세계평균보다는 적지만 아시아평균보다는 훨씬 높은 수치이다. 전국에서 비교적 골고루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지만, 특히 많이 재배되고 있는 지방은 전라남도이다.

재배 및 품종

생육적온은 25∼30℃이고, 파종기와 발아기에는 15∼17℃ 이상이어야 좋으며, 개화 · 결실기에는 밤온도가 20∼25℃가 알맞다. 콩은 주7이 비교적 많은 작물이므로 토양수분이 충분하여야 생육이 좋으며, 토양은 중성 · 약산성으로서 부식 · 인산 · 칼리 · 석회 등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는 주8주9가 알맞다.

우리 나라 밭작물의 윤재조직(輪栽組織: 번갈아 심음)에는 흔히 콩이 끼어 있어 지력 유지에 좋은 영향을 주지만, 콩도 연작(連作)을 하면 선충(線蟲)이 만연하거나 석회 등의 비료성분이 집중적으로 수탈되기 때문에 주10이 일어나므로 윤작을 하는 것이 좋다.

추파맥류(秋播麥類)를 재배하기 곤란한 중부산간지방에서 단작으로 많이 재배되지만, 맥간작(麥間作)이나 맥후작(麥後作)으로 파종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콩은 수수 · 옥수수 · 고구마 등 여러 작물과 주12되기도 하고, 옥수수 · 조 · 수수 · 들깨 · 참깨 등의 작물과 주11하기도 하며, 감자밭 · 원두밭[園頭田] · 논두렁 등에 주위작으로 많이 재배된다.

파종기는 작부방식에 따라 다르며, 연작인 경우는 5월 상순∼중순경에 파종하고 맥후작인 경우에는 6월 중순∼하순에 파종한다. 파종방법은 주13을 하기도 하며 주14를 하기도 한다.

일반 주15에서는 콩의 수량이 주16보다 지력에 의하여 더욱 지배되고, 뿌리혹의 착생이 좋은 지력조건이 된다. 생식생장은 뿌리혹박테리아가 고정하는 질소에 주로 의존하므로 질소질비료의 사용은 영양생장에 필요한 정도에 그치는 것이 알맞다. 콩을 처음 재배하는 토양에 뿌리혹박테리아를 접종하면 증수되며 단백질 함량도 증가한다.

주요 병충해로는 주17 · 주18 · 바이러스병 · 세균성점무늬병 · 자줏빛무늬병 · 점무늬병 · 검은점병 · 더뎅이병 · 붉은곰팡이병 · 녹병 · 불마름병 · 갈색겹무늬병 등과 콩잎말이나방 · 콩나방 등이 있다. 기생식물인 실새삼의 피해도 상당히 크다.

주요 재배품종은 모두가 일반용 품종이고, 콩나물용 · 유지원료용 · 혼반용 · 청미용 등의 품종은 아직 정립되지 못하였다. 주요 품종으로는 육우3호 · 금강대립 · 봉의 · 부석 · 함안 · 장단백목 · 충북백 · 광두 · 익산 · 힐콩 · 강림 · 동북태 · 은대두 · 광교 · 황금콩 · 장엽콩 · 단엽콩 · 백천 등이 있다.

효용

어린 풋대콩은 삶아서 먹고, 완숙한 콩은 콩밥 · 콩자반 · 콩설기떡 · 콩엿 등을 만들어 먹는다. 또, 두부 · 비지 · 된장 · 간장 · 콩나물 · 콩기름 등으로 가공하여 먹기도 하고, 인조기름 · 인조고기 등을 만들기도 한다. 콩기름은 각종 공업원료로 이용되며 최근에는 두유의 원료로 많이 소비된다.

콩의 생초 · 건초와 콩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줄기는 인공섬유의 원료와 농촌의 땔감으로 이용된다. 이 밖에 비누 · 인쇄용잉크 · 방수제 · 유화제 · 살충제 · 화약 · 의약품 등 공업상의 용도도 다양하다.

참고문헌

『전작(田作)』(조재영 외, 향문사, 1980)
『작물학개요』(조재영 외, 향문사, 1983)
「대두문화는 동방에서」(이성우, 『한국의 콩연구』, 한국콩연구학회, 1984)
주석
주1

개화한 이후에는 줄기의 길이 생장을 멈추는 식물의 유형. 우리말샘

주2

개화한 이후에도 줄기의 길이 생장을 계속하는 식물의 유형. 우리말샘

주3

콩에서 곁가지나 잎이 옆으로 뻗어 넓게 퍼진 형태. 우리말샘

주4

콩과 작물 중에서 콩의 가지가 적거나 줄기가 곧게 자라서 작물 한 개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좁은 초형. 우리말샘

주5

식물의 잎이나 꽃이 밤이 되면 오므라들거나 아래로 처지는 운동. 빛의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자극을 받아 세포의 활동이 변하기 때문이다. 민들레, 팽이밥, 강낭콩, 땅콩 따위가 대표적이다. 우리말샘

주6

종자식물에서 밑씨의 끝에 있는 작은 구멍. 흔히 수정할 때 화분관은 이것을 통하여 배낭에 도달한다. 우리말샘

주7

식물이 건조 물질 1그램을 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수량. 동일한 작물이라도 기상ㆍ토양ㆍ재배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대체로 밀과 보리는 500~550그램, 감자는 500그램 내외, 옥수수는 300그램 내외이다. 우리말샘

주8

진흙이 비교적 적게 섞인 보드라운 흙. 공기와 물의 유통이 좋고 비료의 분해가 빨라 농작물을 심기에 알맞다. 우리말샘

주9

점토 성분의 조성이 전체량의 37.5~50%인 토성 구분. 만져 보면 약간씩 모래의 까칠함도 느껴진다. 우리말샘

주10

같은 땅에 같은 작물을 이어짓기하는 경우 작물의 생육에 장해가 나타나는 현상. 특정 병충해의 만연, 토양 중의 양분 결핍, 염류의 집적, 유독 물질의 분비, 잡초의 번성 등이 원인이다. 우리말샘

주11

이랑을 만들고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일정한 이랑씩 번갈아 심어 가꾸는 일. 우리말샘

주12

한곳에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심는 일. 우리말샘

주13

밭에 고랑을 내어 줄이 지게 씨를 뿌리는 일. 또는 그런 방법. 우리말샘

주14

씨앗을 한곳에 한 개 또는 몇 개씩 일정한 간격을 두고 뿌림. 우리말샘

주15

논밭과 채소밭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6

거름을 주는 일. 우리말샘

주17

식물의 잎이 푸른빛을 잃고 희거나 누런빛을 띠는 병. 햇빛이 부족하거나 철분이 부족할 때 생긴다. 우리말샘

주18

농작물의 과실, 줄기, 잎에 누런 갈색의 병 무늬가 생기고 붉은색의 분생자(分生子) 덩어리가 생기는 병.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