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촌유고 ()

탄촌유고
탄촌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9년 권구의 후손 권봉집(權鳳集)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인표(鄭寅杓)의 서문, 권말에 권봉집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8권 4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계명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서(書) 37편, 서(序) 7편, 제발(題跋) 10편, 권2에 제문 19편, 축고문(祝告文) 4편, 권3에 잡저 5편, 권4·5에 이택문변(麗澤問辨), 권6에 잡저 17편, 권7에 만록(漫錄), 권8에 부록으로 저자의 행장·묘지명·묘표 및 여러 사람의 기문(記文)·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스승인 조지겸(趙持謙)·박세채(朴世采)·윤증(尹拯) 등에게 보낸 것이 많으며, 김창협(金昌協)에게 보낸 것도 있다. 윤증에게 보낸 편지에는 특히 사장(事長)과 치기(治己)를 당위(當爲)로 삼고자 한 저자의 신념이 강하게 담겨 있다. 이 밖에 암행어사 조석명(趙錫命)에게 보낸 「여조수의서(與趙繡衣書)」에는 대동미(大同米)에 대해 그 시폐(時弊)를 논한 내용이 들어 있다. 그 밖의 서찰에는 상례·제례 등의 예학(禮學)과 수신(修身)에 관한 내용을 언급한 것이 보인다.

서(序)에는 1698년(숙종 24)에 쓴 「오복편람자서(五服便覽自序)」가 있다. 제발의 「제풍아별곡후(題風雅別曲後)」는 문학 비평에 있어 저자의 안목을 볼 수 있는 글이다. 또한, 제발에는 『해동명인록』의 서후(書後), 주자십훈(朱子十訓)과 향교의 식례(式例), 학령에 관한 서후 등이 있다. 제문에는 노론 계통인 김창협에 대한 제문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당파를 떠나 교의가 두터웠음을 알 수 있다.

잡저 가운데 권3에 실린 「노문일기(魯門日記)」는 1701년 아버지의 명에 따라 윤증을 사사하기 위해 노성(魯城)으로 떠날 때부터 약 10개월간의 일기로, 윤증의 행록이 부록으로 붙어 있다. 권4·5의 「이택문변」은 스승 윤증과 예학에 관해 문답한 내용이다.

권6의 잡저에는 1683년 석실서원(石室書院)에서 주자서(朱子書)를 강토(講討)할 때의 생활을 기록한 「석원일기(石院日記)」와, 1684년 광주(廣州) 향장(鄕庄)으로 스승 조지겸을 찾아갔던 일을 기록한 「명촌일기(明村日記)」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변무통문(卞誣通文)이 들어 있다. 이 밖에 저자의 수신론을 집약한 「지경도(持敬圖)」가 수록되어 있다.

권7의 만록은 잡다한 이야기를 적은 것이다. 이 가운데에는 시평(詩評)에 관한 내용도 들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저자가 시문에 높은 식견이 있었음에도 시가 1수도 실려 있지 않는 점이 주목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