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천관 ()

목차
관련 정보
고종황제 어진
고종황제 어진
의생활
물품
황제의 조현복(朝見服)인 강사포(絳紗袍)에 쓰던 관.
목차
정의
황제의 조현복(朝見服)인 강사포(絳紗袍)에 쓰던 관.
내용

우리나라에서는 고종황제의 어진(御眞)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1897년 새로 정한 통천관의 제양을 보면, 관은 오사(烏紗)로 쌌는데 전후를 각 12봉(縫)하였고, 그 12봉 가운데에 5채옥(采玉) 12개씩을 장식하였으며 옥잠도(玉簪導)를 꽂게 되어 있고 홍색 조영(組纓)이 달려 있다. 여기서 12봉은 12양(梁)을 말한다.

그런데 이것은 중국 명(明)나라의 피변을 그대로 본떠 만든 것이었다. 한편 중국에서도 원래의 통천관은 『당서(唐書)』 거복지(車服志)에 의하면 흑개책(黑介幘)에다 전후 12양을 합하여 24양을 만들고 앞양 위에는 매미[蟬] 12수(首)를 붙이고, 또 양마다에는 취주(翠珠)를 장식하였으며 관 정면에는 금박산(金博山)을 가시(加施)하였다.

그리고 조영에는 취옥을 꿰었고 서잠도(犀簪導)를 꽂았다. 통천관의 명칭은 『남제서(南齊書)』 여복지(輿服志)에 의하면 통천관에 박서잠도(駁犀簪導)를 꽂았는데, 이 박서는 모태(母胎)에 있는 동안에 천공(天空)의 현상에 감통(感通)하여 그 뿔에 특수한 아름다운 박리(駁理)를 발생한다는 데서 통천서(通天犀)라 하였고, 이 서각(犀角)을 잠도(簪導)로 사용한 데서 관명도 그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대한예전(大韓禮典)』
『당서(唐書)』
『대명회전(大明會典)』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순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