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필적 - 퇴도선생필법 및 퇴도선생유첩 ( - )

목차
관련 정보
이황 필적 중 퇴도선생 필법 및 퇴도선생 유첩
이황 필적 중 퇴도선생 필법 및 퇴도선생 유첩
서예
문헌
문화재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이황이 권호문에게 글씨를 가르치기 위하여 교본(敎本)으로 써준 서첩. 필첩.
이칭
이칭
퇴도선생필법 일책부 퇴계선생유첩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이황 필적 - 퇴도선생필법 및 퇴도선생유첩(李滉 筆蹟 - 退陶先生筆法 및 退陶先生遺帖)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71년 08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이황이 권호문에게 글씨를 가르치기 위하여 교본(敎本)으로 써준 서첩. 필첩.
내용

197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이황(李滉)이 그의 문인 권호문(權好文)에게 글씨를 가르치기 위하여 써준 교본(敎本)인 「퇴도선생필법」과 이황이 권호문에게 보낸 편지를 모아 첩장한 「퇴도선생유첩」2첩으로 이루어져 있다.

「퇴도선생필법」은 대 · 중 · 소의 글씨로 해(楷) · 행(行) · 초(草)의 각체를 구별하여 썼는데, 해서 중자(中字) 13엽(葉), 행서 중자 14엽, 소해(小楷) 6엽, 소초(小草) 4엽, 중초(中草) 2엽, 중해(中楷) 3행(이 다음에 2엽이 떨어져 나갔음), 소해 1엽의 순으로 쓰여졌으며, 내용은 주로 당시(唐詩)이다.

부록으로 첨부된 「퇴도선생유첩」은 1첩에 3편, 2첩에 5편, 합 8편의 이황의 편지를 모아 첩장한 것인데, 1554년(명종 9)에서 1567년 사이에 쓰여졌다.

이황의 글씨는 비교적 많이 전해지고 있는 편이나, 본첩은 체본(體本)으로 성의를 다하여 썼으며, 특히 각체가 구비되어 이황의 필적 가운데서도 대표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더욱 높다.

참고문헌

『국보』12 서예·전적(천혜봉 편, 예경산업사, 198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